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8

일제 강점기 박은식 선생님께서는 독립을 위해 어떤활동들을 하셨을까요?

일제가 우리 민족에게 저지른 악행들은 이루말도 다 할 수가 없습니다. 그와중에 일제 강점기때 박은식 선생님께서는 독립을 위해 어떤활동들을 하셨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05.2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박은식 선생이 근대 민족운동에 본격적으로 뛰어든것은 1898년 독립협회에 가입하면서 부터이며 선생은 그 해 3월부터 개화 지식인들과 서울 민중들이 중심이 되어 전개한 독립협회의 만민공동회운동에서 문교 분야의 간부급 지도자로 호라동, 9월 장지연, 남궁억 , 유근 등이 대한황성신문을 인수해 황성신문으로 제호를 바꾸어 발행하자 장지연과 함께 주필로 활동하면서 민중계몽운동을 벌였습니다.

    독립협회가 해산 된 후 성균관의 교육기능을 계승한 경학원의 강사와 관립 한성사범학교의 교사로 봉직하면서 후학 양성을 했으며 1904년 7월 양기탁과 영국인 배설에 의해 대한매일신보가 창간되자 양기탁의 추천으로 이 신문의 주필을 역임했습니다.

    이 무렵 일제는 러일전쟁을 도발하며 한국을 식민지하기위한 노골적이고 본격적인 침략정책을 감행하고 러일전쟁의 승전으로 한국에서 배타적이고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된 일제는 1905년 11월 을사조약을 강제해 국권을 강탈합니다.

    이에 장지연이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이라는 논설을 게재하여 을사조약의 부당성과 침략성을 비판하자 일제는 이 신문을 정간시켰고 그 뒤 황성신문은 1906년 복간되었으나 일제의 방해로 장지연의 복귀는 어려워 주필로 혼자 남게된 선생은 1910년 8월 일제에 의해 황성신문이 폐간될 때까지 각종 애국적 논설을 발표해 국민을 계몽하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면서 국권회복운동의 저변을 넓혔습니다.

    또, 국망의 위기 상황에서 구국과 국권회복 운동의 논리로 사회진화론을 사용하고 이에 기반해 여러 방면에서 실력양성 운동을 전개합니다.

    1906년 4월 조직된 대한자강회에 참여, 대한자강회월보 발행에 관여하면서 다수의 애국적인 논설 발표, 교육과 실업 장려, 민중의 정치 의식을 깨우쳤으며 이 시기 선생의 활동은 언론 계몽운동과 함께 교육 계몽운동에 집중되어있었습니다.

    1906년 10월 선생이 동지들과 함께 교육 계몽운동단체로 서우학회를 조직, 지도, 기관지인 서우 발행을 맡아 교육 진흥과 민족교육기관으로 사립학교의 설립을 촉구했습니다.

    1908년 1월 서북인 중심의 서우학회와 관북인 중심의 한북흥학회가 통합해 서북학회가 창립하면서 회장을 맡아 서북학회월보를 통해 사립학교의 설립 필요성을 거듭 강조해 서울에 서북협성학교와 오성학교가 개설되었으며 두 학교의 교장을 맡았습니다.

    서북협성학교의 분교 설립을 추진해 1908년 ~1909년 말 까지 전국 각지에 63개 지교를 설치, 이를 매개로 항일민족의식을 고취하며 신교육을 통한 민족의 실력양성운동에 진력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박은식 선생은 일제강점기의 학자, 언론인, 독립운동가, 교육자, 애국계몽운동가, 정치가 입니다. 그는 대동교(大同敎)를 창건하고 신한혁명당(新韓革命黨)을 조직하여 항일활동을 전개하였다고 합니다. 국권회복의 실력을 양성하기 위해 개화사상과 신학문에 힘쓸 것을 주장했고, 황성신문 등 언론을 통해 애국계몽운동을 펼치는 데 주력했습니다. 한국인의 혼을 되살리기 위해 『한국통사』를 저술했고, 임시정부가 혼란에 빠지자 수습했으며, 대한 민국 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박은식 선생은 젊어서 성리학 연구에 몰두해 성리학자로서 명성이 높았으나 독립협회의 영향을 받고 개화사상가로 변신했으며, 국권회복의 실력을 양성하기 위해 개화사상과 신학문에 힘쓸 것을 주장했고, 황성신문 등 언론을 통해 애국계몽운동을 펼치는 데 주력했다고 합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1025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독립 운동가. 박은식.

    * 지식층 독립 운동가. 박은식( 朴殷植 ).

    ㅇ 1859.9.~ 1925. 11. 황해도. 황주 출생.

    ㅇ 1898.9. 장지연이 창간한 <황성신문>의 주필.

    민중계몽 운동. 항일 독립운동 여파.

    ㅇ 1909.5. 유교( 구습 ) 개혁 주장.

    양명학을 기초로 대동교( 大同敎 ) 창건. 종교부장으로 활동.

    ㅇ 1910. 국권피탈로 중국으로 망명.

    ㅇ 1915. 상해에서 신규식. 이상설 등과 < 신한 혁명당 > 조직.

    ㅇ 1925. 3.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이승만 대통령 면직으로

    <2대 대통령> 승계.



  •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박은식은 일제강점기 『안중근전』, 『한국통사』, 『대동민족사』 등을 저술한 학자이자 언론인, 독립운동가이다. 1859년(철종 10)에 태어나 1925년에 사망했다. 젊어서 성리학 연구에 몰두해 성리학자로서 명성이 높았으나 독립협회의 영향을 받고 개화사상가로 변신했다. 국권회복의 실력을 양성하기 위해 개화사상과 신학문에 힘쓸 것을 주장했고, 황성신문 등 언론을 통해 애국계몽운동을 펼치는 데 주력했다. 한국인의 혼을 되살리기 위해 『한국통사』를 저술했고, 임시정부가 혼란에 빠지자 수습했으며, 대한민국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박은식은 일제강점기의 학자, 언론인, 독립운동가, 교육자, 애국계몽운동가, 정치가이다. 그는 대동교를 창건하고 신한혁명당을 조직하여 항일활동을 전개하였다. 자는 성칠이고 호는 겸곡, 백암, 태백광노, 무치생이다. 밀양 박씨이다.

    -출처: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