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나도빠!!
나도빠!!

미국 국채가 계속 높아 지고 있다고 하는데 금리가 계속 내리는건 맞는 걸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46
직업
전기엔지니어링
근로형태
근로소득자(4대보험)
결혼여부
기혼
월 수입 현황
580
희망 상담 분야
은퇴 설계

지금 미국 연중에서 금리는 내리고 있지만 우리나라 금리는 오히려 높아지고 있습니다. 부동산 때문에 대출을 막고 있어서 그런것도 있지만 전문가들은 미국 국채가 계속 증가되고 인플레이션이 다 잡히지 않아서 오히려 내년에 금리가 올라갈거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내년에 미국 금리의 방향이 어떻게 될지 좀 조언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 민주당 정권인데도 불구하고 단어 한 정책으로 우리나라가 매우 힘들어진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트럼프를 잘못 건들면 나라가 망합니다 님이 거의 망가진 나라들이 몇 군데 있지요 게다가 문제는 우리나라 대통령입니다 전처럼 납작 엎드려서 노래도 부르고 그냥 퍼 주기만 하면 될지 아니면 그런다고 더 요구하는 거를 무리한 것까지 다 수용할지는 미지수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생각외로 경제가 견조하다는 흐름이 팽배해지면서 금리 상승압박을 받고 있으며 특히 트럼프가 당선시에 금리상승 분위가 크다는게 내년도 시장금리 상승가능성이 높아진 이유입니다

    이는 재정정책을 대규모로 하기위해서 국채발행을 크게 늘릴가능성과 관세장벽을 크게 높여서 물가가 크게 상승하는 요인때문에 이런 분위기가 높아진 상황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미국의 금리는 지금수준에서 오르긴 어렵습니다

    • 다만 기존에 예상했던 금리인하 스케쥴 보다는 지연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 원래 계획은 올해 남은 2번의 FOMC에서 2회 금리인하를 가져갈 계획이였지만

      실제로는 2회가 아닌 1회 혹은 0회가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지금 미국채금리도 미국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의구심 때문에 50비피 인하는 했지만 크게 올랐습니다

    게다가 트럼프 당선확률이 높아지면서 미국의 재정적자폭 확대 예상으로 내년부터 국채발행량이 늘어날거라는 생각이 금리를 더 올리는 상황이구요

    사실 올해 11월 FOMC 25비피 인하는 할거라 다들 생각하지만 12월에 인하는 할수 있을거라는건 이제 누구도 확신할수 없는 상태입니다

    11월 5일 대선 결과 이후 내년 방향성을 설정하는게 맞을거 같습니다 지금은 트럼프 변수가 크네요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내년 미국 금리의 방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미국 금리는 현재로선 방향을 내리는 것으로 틀었지만

    미국 경제 상황에 따라서 얼마든지 다시 오를 수 있거나 계속 동결할 수 있습니다.

    다만, 대선이 있는데 트럼프가 당선되면 다시 오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켜봐야하겠지만 소매물가가 오름세로 보이고 있고 빅컷 단행에 부작용이 살짝씩 보이고 있는 조짐이 있어서

    이번 달 PCE 보단 다음 달 대선 이후 고용이나 CPI 가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증가 추세로 전환한다는 것이 보이면 하이퍼인플레이션 우려의 여론이 확산될 가능성이 높고

    금리 인상에 대한 여론도 나올 수 있어서 만약 그렇게 된다고 하면 금리 인상까진 아니여도 5%의 고금리 유지가 오래가게 되서 고통이 장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 국채 수익률이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24년에 미국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은 불확실합니다.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억제되지 않았고 미국의 재정 적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어 금리가 오히려 다시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합니다. 특히, 내년에도 경제의 강한 성장세가 유지되면 연준이 금리를 더 오래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24년 중반 이후로 금리 인하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수 있으며 금리가 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채 가격은 금리와 반대로 움직이므로 금리인하효과가 제대로 영향 미칠수록 국채 가격은 상승하는것이 자연스럽습니다.

    다만 국채 금리의경우는 기준금리와 동행하여 내려가야하는데, 이는 신규국채발행 효과가 지속 반영되어야하구요.

    내년에는 스몰컷이 여러번 반복되지 않을까하고 전망된다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과 같은 경우에도 아무래도 현재

    경제지표들도 상반된 결과가 나오는 경우도 있고

    더불어서 향후 경기침체 유무도 어떻게 될지 모르기에

    금리가 내려갈 가능성이 더 높아보이긴 하나

    어떻게 될지는 모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해주신 것처럼 올해까지는 미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정책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지만, 만에하나라도 트럼프가 당선된다면 재정확대는 소비를 늘려 인플레이션을 키울 수 있기 때문에 기준금리를 인상 시킬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