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와 같은 예금 고금리 행진은 언제까지 이어질까요?
안녕하세요 큰돈은 아니지만 예금으로 돈을 돌리고 있습니다. 최근에도 5프로에 재예를 했는데 이런 상황 이 얼마나 더 지속될 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앞으로 미국 금리가 4.75%까지 증가하고 한국 금리 역시 3.5%까지 오른다면 당분간 예금금리가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금 우니라나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는 가장 기본적으로는 미국의 기준금리 기조를 따라가고 있다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최종금리 수준은 5.25%~5.75%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의 경우는 환율방어와 기존에 벌어진 금리격차를 위해서라도 최소한 내년 중반까지는 금리인상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최종금리는 4.5%~5% 수준의 금리가 형성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통 예금 금리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발표되기 전에 먼저 오르는 경향이 있으며, 금융기관이 향후에 금리가 인상 혹은 인하 될 것이라는 예측을 토대로 먼저 반영을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래서 예금금리 기준으로는 내년 5월정도가 예금금리의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되며, 금리 수준은 특판예금을 제외하고 1년만기 기본예금 금리 기준으로 7%중반의 금리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 예금 가입을 고려하시고 계시다면 지금은 3개월 단위의 만기로 예금가입을 하시고 운용하시면서 내년 4월~6월 사이에 1년만기 예금으로 가입을 하시면 금리 인상에 따른 혜택을 모두 보실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연준의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한 고금리인상은 올해까지는 강력하게 진행될것으로 보이며 내년에도 인플레이션 정도에 따라서 영향을 미칠것으로 보여 내년까지도 영향력을 미칠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의 금리인상은 아직 진행중으로 보여집니다.
물가상승을 억제하고자 금리인상 정책이 펼쳐지고 있는데, 아직 정책적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지 못했다고 보여집니다.
따라서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적어도 내년 상반기정도까지는 지속적인 금리인상이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계속 금리를 올리겠다는 기조를 보임에 따라서
2023년까지는 금리가 인상될 확률이 높아보입니다.
그리고 현재 물가가 잡히지 않아 2023년에도 고금리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