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APPLEB
APPLEB

우리나라가 비모메리 반도체 분야에서 가장 취약한 분야는?

현재 비메모리 분야에서 대만의 TSMC 가 독주 체계를 달리고 있는

상황에서 삼성전자가 그 뒤를 따르고 있는 형국인데요 우리나라

비모메리 분야에서 가장 취약한 분야는어느 분야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비메모리 분야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은 설계(팹리스) 분야입니다. TSMC와 같은 대만 기업은 강력한 파운드리 경쟁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팹리스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지만, 한국은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은 강세를 보이지만 설계 전문 팹리스 기업의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약한 편입니다. 특히, 시스템 반도체의 설계와 관련된 고급 인력 부족, 생태계 구축 미비, 글로벌 시장 점유율에서 도전 과제가 많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비메모리는 처음부터 위탁생산으로서 개념을 갖고 시작한게 TSMC였으며 이는 대규모 조단위 팹이라는 공장을 지속적으로 투자하는 자본집약산업이었습니다

    이에 한국은 과거 삼성전자가 메모리를 선택하여 대규모 자본을 투입한것이며 이당시 TSMC는 국가의 힘을 빌려 대규모 자본을 투입하여 비메모리 즉 시스템반도체 위탁생산이라는 시스템을 구축한것입니다

    이에 한국은 메모리 중심으로서 소재 장비 부품 협력기업들이 국내에 자생적으로 오랜기간 성장해왔고 TSMC는 파운드리가 커지면서 국내에 디자인하우스와 후공정 업체들 그리고 각종 팹리스 업체들이 TSMC긴밀하게 연결되며 생태계가 구축된것입니다

    이후 삼성전자가 규모가 커지면서 2000년대들어 파운드리를 규모를 늘리고 팹리스 설계인 시스템 LSI부문을 확대하려고 했지만 이는 이미 오랫동안 구축된 위탁생산인 TSMC와 그리고 이들과 오래동안 노하우가 쌓이고 또 미국에선 주요 빅테크들이 팹리스 설계에선 이미 최초부터 지금까지 갖고 있던 기술이기에 한국이 뒤늦게 따라가기엔 여전히 역부족한 상황이며 추격해가는 입장으로 보시면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은 파운드리 시장에서 TSMC와의 경쟁력 차이가 있으며, 특히 고급 공정 기술과 대규모 생산 능력에서 뒤처지고 있다는 점이 주요 취약점으로 꼽힙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비메모리 분야 중 취약하다고 보는 점은 차세대 AI반도체 특허 출원과 계속출원(CA)이 약하고, 또한, 인간의 뇌 구조를 모방해 빠른 속도와 저전력으로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분석할 수 있는 뉴로모픽 반도체에 대한 투자도 취약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위탁 생산 분야에서 경쟁력이 부족합니다. 파운드리는 반도체 칩을 생산하는 기업인데 대만의 TSMC가 전 세계 시장 점유율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파운드리 업체는 TSMC에 비해 생산능력이 부족한 경향이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가 비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가장 취약한 분야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는 비메모리 분야가 전반적으로

    다른 경쟁 업체나 나라들보다 취약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