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미국 금리 인하를 한다는 긍정적인 발언이 있었는데, 국채 금리는 왜 반응이 없을까요?

이번에 파월 의장이 올해와 내년 수차례 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발언을 했다고 하는데요.

생각보다 미국의 국채 금리는 큰 반응이 없더라고요.

왜 그건걸꺼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이곳 아하에서도 항상 올라오던 질문과 답인거처럼 많은 사람들은 인하가능성에 대해 이미 알고 있었다 가 정답이겠죠, 그 시기만 기다리고 있을분. 민감하게 받아들이는사람도 있고 아닌사람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파월 의장이 올해와 내년에 여러 차례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에 대한 발언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국채 금리에 큰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이유에는 몇 가지 있을 것 입니다.

    첫 번째는 대규모 경제적 결정이나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 변화에 대한 시장 예상이 이미 반영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파월 의장의 발언은 시장 참여자들이 이미 예상하고 있던 대로였을 수 있고, 따라서 금리에 큰 변화가 없는 것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 이외의 다른 주요 경제국의 통화정책, 금융 시장 상황 등 국제적인 요인들도 미국 국채 금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 상황이나 국제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미국 국채 금리의 변화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어제 반응이 없었던건 오늘 미국 6월 물가지수 발표가 예정되어있었으니 경계감에 반응이 없었던거 같습니다

    오늘 물가가 낮게나와서 미국채금리 큰 폭으로 하락중이네요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금리 인하에 대한 긍정적인 발언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국채 금리가 반응하지 않는 이유는,

    기대 반영: 시장은 이미 금리 인하 가능성을 가격에 반영했을 수 있습니다. 만약 투자자들이 금리 인하를 이미 예상하고 있었다면, 관련 발언이 나와도 큰 변동이 없을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계획 부재: 금리 인하에 대한 발언이 있었지만, 구체적인 일정이나 실행 계획이 없을 경우 시장은 신중한 태도를 취할 수 있습니다.

    경제 지표 및 전망: 금리 인하 발언에도 불구하고, 다른 경제 지표들이 부정적이거나 경제 전망이 불확실한 경우 국채 금리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

    연준의 신뢰성: 만약 시장이 연준의 발언을 신뢰하지 않거나, 연준이 실제로 금리 인하를 단행할 능력이 없다고 생각한다면 국채 금리는 큰 변동을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해외 요인: 글로벌 경제 상황이나 외환 시장의 변동 등 외부 요인들도 국채 금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국채금리가 하락하지 못하는 이유는 국채가 그만큼 인기가 없다는 것을 뜻합니다

    • 국채가 인기가 있으려면 주가의 수익률이 안좋거나 경제가 불안하다고 판단하면 수요가 몰리면서

      가격이 상승하고 금리는 떨어지게 됩니다

    • 하지만 현재 국채를 매수하기 보다 주식에 투자하는 자금이 더 많기에 국채 금리는 여전히 견고한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미국 연준 의장이 금리 인하 관련해서 여러 발언을 했지만 그래서 이제 어떻게 실제 국채금리에 별다른 영향이 없다는 것은 시장에서 예상한 것과 크게 다르지 않는 발언이라는 의미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파월 의장의 발언은 금리를 내릴 가능성을 언급한 것이지만 확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시장은 즉각 반응하지 않았습니다. 또, 시장은 이미 금리 인하 가능성을 어느 정도 예상하고 있었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경제 상황이 변할 수 있으니 국채 금리는 실제 금리 인하가 확정될 때까지 큰 변동을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그 이유는 연준의 금리 인하를 예상한 시장이 이미 국채 금리 인하(국채 가격 상승)를 선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파월의장의 발언과 함께 오늘 cpi마저 예상치보다 낮게 나오면서 지금 미국의 대표적인 장기채 etf인 tlt는 어제 0.3% 오늘은 0.9%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반응이 없다고 할수는 없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