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에서나 남극에서도 신기루현상이 나타날수 있나요
신기루 현상은 주로 사막에서 볼수 있다고 하는데요
사막지표의 뜨거운 바람과 대기의 찬공기가 만나 빛이 굴절되면서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고 하는데
찬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날 수 있는 조건은 북극같은 곳에 조건이 될것같은데
이런곳에서도 신기루 현상이 나타나나요?
나타난다면 사막은 오아시스가 나타나는데 북극에서는 어떤 신기루현상이 나타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 현상 자체가 빛의 굴절에 의한 현상입니다. 극 지방에서도 공기의 온도 차에 의해서 충분히 발생이 가능한 현상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이나 남극에서도 신기루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북극이나 남극은 지구의 극지방으로
낮과 밤의 길이가 길고
기온이 낮습니다.
이러한 환경 조건은 신기루 현상이 발생하기에 유리합니다.
북극이나 남극에서는 상방 굴절 신기루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상방 굴절 신기루 현상은 지표면의 공기가 따뜻하고
그 위의 공기가 차가운 경우 발생합니다.
이 경우 빛이 지표면을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관찰자의 눈에 도달하게 됩니다.
북극이나 남극에서 발생하는 신기루 현상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지표면의 공기가 차고, 그 위의 공기가 따뜻할 경우, 도로가 거울처럼 펼쳐진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작은 빙산이 거대한 빙산처럼 보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바다 위에 도시가 떠 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북극이나 남극을 여행할 때는 이러한 신기루 현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신기루 현상은 북극이나 남극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기루 현상은 대기 조건에 따라서 발생하는 광학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대기의 온도 차이나 습도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북극이나 남극은 극지방으로서 기후 조건이 특이하고 다양한 기상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지역입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추운 기온과 건조한 대기 조건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신기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이상적인 조건입니다.
신기루 현상은 일반적으로 대기 중의 습도와 온도 차이로 인해 빛이 굴절되거나 반사되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거리에 있는 물체나 풍경이 신비롭고 왜곡된 모습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북극이나 남극의 얼음과 빙산이 신기루 현상으로 인해 환상적인 모습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 현상은 사막뿐 아니라 북극과 같은 다른 지역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실, 북극에서는 신기루 현상이 꽤 흔하게 발생하며, 이를 상위 신기루라고 부릅니다. 상위 신기루는 차가운 공기가 바다 가까이에 있고 따뜻한 공기가 그 위로 깔리는 경우 발생합니다. 빛은 따뜻한 공기보다 차가운 공기에서 더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빛이 차가운 공기층에서 따뜻한 공기층으로 굴절되면서 상이 위쪽으로 이동된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 때문에 북극에서는 빙산이나 배, 육지 등이 실제보다 높은 곳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신기루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남극에서도 사막처럼 지표면이나 해수면과 위쪽 공기간의 온도차이가 크기때문에 신기루현상이 나타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는 주로 위쪽 공기는 차갑고 지표면은 매우뜨거운상황에서 잘 만들어집니다.
북극같은곳에서도 바다표면이 매우 차갑고 그 위는 비교적 따듯해 배가 떠있는듯한 신기루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 현상은 사막에서 주로 볼 수 있지만 사실 다른 지역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대기의 온도와 밀도 그리고 바람의 방향과 세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사막에서는 뜨거운 바람과 찬 공기가 만나면서 빛이 굴절되어 신기루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북극이나 남극 같은 찬 곳에서도 신기루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나는 것이 아니라 찬 공기와 더 찬 공기가 만나면서 빛이 굴절되어 나타납니다.
북극에서는 주로 얼음 결정이나 눈송이와 같은 빛을 반사하는 물체들이 있을 때 신기루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빛이 얼음 결정이나 눈송이를 통과하면서 굴절되고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북극에서는 얼음 결정이나 눈송이가 많이 있는 경우에 신기루 현상이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남극에서도 마찬가지로 신기루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남극은 북극보다 더 추운 지역이기 때문에 신기루 현상이 나타날 확률은 낮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남극은 더 많은 얼음과 눈이 쌓이는 지역이기 때문에 북극보다는 신기루 현상이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기루 현상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사막이나 북극 남극과 같은 지역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대기의 온도와 밀도 바람의 방향과 세기 그리고 빛을 반사하는 물체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이나 남극에서도 신기루 현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발생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이는 신기루 현상이 대기 중의 습도와 온도 차이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북극이나 남극은 일반적으로 매우 추운 지역이기 때문에 대기 중의 습도가 낮고 온도 차이가 크지 않을 수 있어 신기루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표(또는 해수면)의 공기가 몹시 차갑고 그 위가 따뜻할 경우, 지표부근의 현저한 기온역전으로 인해 빛이 굴절하여 먼 곳에 있는 실물이 거꾸로 매달린 형태 또는 솟아오른 형태로 보인다. 두 경우 모두 신기루의 상이 실물보다 위쪽에 형성된다. 북극해나 남극에서 잘 나타나며, 대기의 조건에 따라 바다 위에 떠 있는 작은 유빙이 거대한 빙산으로 보이기도 한다.
(출처 : 한국극지연구진흥회 블로그 - 남극에도 신기루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