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진기한황새230
진기한황새230

탄소중립 2050가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요즘 ESG에서 탄소중립 2050를 지키려고 많은 기업들이 노력중인데, 정확히 탄소중립 2050이 어떤 의미이며, 현재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탄소를 저감하기 위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정부가 2020년 12월 7일 발표한 방안으로, ‘경제구조의 저탄소화’, ‘신유망 저탄소 산업 생태계 조성’, ‘탄소중립 사회로의 공정전환’ 등 3대 정책방향에 '탄소중립 제도적 기반 강화'를 더한 '3+1' 전략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탄소중립은 개인·회사·단체 등에서 배출한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겠다는 것으로, 2016년

    발효된 파리협정 이후 121개 국가가 '2050 탄소중립 목표 기후동맹'에 가입하는 등 전 세계의 화두가 됐습니다.

    여기에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의

    유엔(UN) 제출 시한이 2020년 말로 다가옴에 따라 주요국의 탄소중립 선언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종하 전문가입니다.

    탄소 중립 2050은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 증가를 막기 위해 인간 활동에 의한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흡수량을 증대하여 순배출량이 ‘0’이 되는 것을 탄소중립 혹은 ‘넷제로(Net-Zero)라 하는데 2050년을 목표로 탄소중립을 이루겠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탄소 저감을 위한 노력은 화석연료 사용량 저감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생산비율 증대 및 전기차 등의 사용 범위 확대 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