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베린 성분의 황화수소 조절 정도 실험?
장 내 과도한 황화수소가 파킨슨병을 유발할 수 있음을 알게 되고 물고기 변을 배양하여 베르베린이 많이 함유된 황련 추출물의 농도를 달리 해 황화수소 조절 정도를 알아보는 실험을 계획 중입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선택 배지를 사용해야 하는지, 황화수소 검출 방법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실현 가능 한가요...?
우선 배지의 경우..
말씀하신 실험이라면 IA배지나 mGAM배지, 또는 SIM배지를 사용해보시면 어떨까 합니다.
IA 배지는 보통 황화수소 생성 세균을 분리하고 계수하는 데 사용되는데, 황화수소를 생성하는 세균은 배지 내의 철 이온과 반응하여 검은색의 황화철 침전물을 형성하므로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특히 해양 어류에서 황화수소를 생성하는 Shewanella 속 세균의 분리에 활용되기도 하니 사용해볼만합니다.
그리고 혐기성 세균의 배양에 널리 사용되는 mGAM 배지에 황화수소 생성을 확인하기 위한 ferric citrate 시약 등을 첨가하여 사용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SIM 배지는 황화수소 생성 능력뿐만 아니라 인돌 생성 및 운동성까지 확인할 수 있는 배지이니 역시 사용해볼만합니다.
배양된 세균의 황화수소 생성 여부 및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은 배지마다 다릅니다.
IA 배지라면 먼저 언급드린 것처럼 황화수소를 생성하는 콜로니는 배지를 검게 변색시키므로 시각적으로 확인 및 비교가 가능합니다. 또한 콜로니 주변의 검은색 정도를 통해 상대적인 황화수소 생성량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좀 더 폭 넓게 해보려면 아세트산납 시험지를 사용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배양 중인 배지 튜브 상단에 아세트산납 시험지를 넣어두면, 생성된 황화수소 가스가 시험지에 반응하여 검게 변색되고, 변색 정도를 통해 황화수소 생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험 가능성에 대해서 확신할 수는 없지만, 전반적인 계획은 충분히 실현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론 환경을 잘 맞춰 혐기성 조건을 맞춰주는 등 조절은 필요합니다.
1명 평가장 내 과도한 황화수소와 파킨슨병의 연관성은 연구되고 있습니다. 물고기 변 배양에는 혐기성 조건이 필요하며, 황화수소 생성균 선택 배지로는 OHO-C agar 등이 있습니다. 황화수소 검출은 납 아세테이트 시험지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베르베린이 장내 미생물과 황화수소 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실험의 실현 가능성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