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아프로아프로
아프로아프로

현재 우리나라의 대출 연체율은 어떻게 되나요?

우리나라의 내수 시장이 죽어가는 증거 중에 하나로

대출 연체율이 높아질 정도로

사람들의 지갑에 돈이 없다고 하던데

요즘 연체율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대출 연체율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9월 기준으로, 연체율은 0.59%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시점보다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러한 증가 추세는 고금리와 경제 성장 둔화가 겹치면서 대출자들의 상환 부담이 커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24.7월중 신규연체 발생액(2.7조원)은 전월(2.3조원) 대비 0.4조원 증가하였으며, 연체채권 정리규모(1.5조원)는 전월(4.4조원) 대비 2.9조원 감소라고 합니다

    연체율(1개월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47%

  • 2024년 8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은 0.53%로 7월 말(0.47%)보다 0.06% p 상승했습니다.

    이 수치는 코로나 사태 이전인 2018년 11월(0.60%) 이후 5년 9개월 만에 최고치입니다.

    8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3,000억 원 증가하고 상각·매각 등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1,000억 원 감소하면서 연체율이 높아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2금융권의 연체율은 8.3% 정도이고

    카드사는 1.69%, 국내은행은 0.42% 수준으로

    아무래도 계속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7월말 국내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47%로 전월 말 대비 0.05% 포인트 상승했다고 합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한국의 대출 연체율은 약 0.5%로, 고금리와 경제적 어려움이 지속되면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영업자와 중소기업 대출의 연체율이 높아졌고, 이는 사람들이 대출을 갚는 데 점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증거로 볼 수 있습니다. 연체율이 증가하면서 내수 시장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대출 연체율에 대한 내용입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2024년 8월 기준으로

    1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경우는 0.53퍼센트로

    한달 전인 전월 말보다 0.06퍼센트 오른 것이라고 합니다.

    계속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