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미술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

고대국가 체제에서 도자예술의 역할이 무엇이 있을까요??

고대국가 체제에서 도자예술의 역할이 무엇이 있을까요?

도자 예술품들이 각 나라별 고유의 특성을 가장 두드러지게 표현하며 발전한 이유가 무엇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zudaish
      zudaish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후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를 거쳐 삼국시대에 접어들면 신라와 가야 지역에서는 신라 및 가야 토기가, 고구려에서는 고구려 토기가, 백제에서는 백제 토기가, 각 지역민들의 미감과 환경에 맞게 제작되었다. 생산 시스템도 보다 체계적이고 대규모로 발전하여 여러 기의 토기 가마[窯]를 축조하고, 소성시 온도와 분위기를 조절하여 오늘날 산화와 환원으로 부르는 불꽃으로 그릇을 구웠다. 보다 강도 높은 그릇의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고, 이는 곧 신분에 따른 그릇의 차별화에도 박차를 가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이 시기에 접어들면 숙련된 기술을 익힌 도공집단에 의해 대량의 표준화된 토기가 제작된 점이 주목된다. 물론 여기에는 한반도 사람들만의 힘만이 아닌 외부와의 물적, 인적 교류에 힘입은 바 크다. 특히, 중국의 선진 토기 제작 기술은 한반도에 유입되어 장식과 원료 정제 기술 향상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당시 중국은 삼국에서는 볼 수 없었던 토기와 다른 고화도의 자기, 즉 청자와 백자를 이미 제작하고 있었다. 이러한 자기는 삼국이 앞 다투어 수입하면서 당대 문화 교류의 생생한 증거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