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체 주식의 물적 분할의 장단점은?
포스코가 물적분할을 하였습니다. 앞으로 굵직굵직한 기업들의 물적분할 또는 인적 분할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물적 분할이 되는 것과 인적분할이 되는 것에 대한 주가와의 변동, 미래 가치 등에 대해서 알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적분할은 기업분할의 한 형태로, 다른 하나로는 인적분할이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상법에서는 인적분할을 원칙으로 하고 있고 물적분할은 예외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물적분할의 가장 큰 목적은 신설법인을 새롭게 IPO하거나 채권발행을 하는 방법으로 대규모 투자자금 유치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회사의 목적에 따라 특정사업에만 투자가 가능해진다는 것도 물적분할의 장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물적분할 전 기존 법인에 대한 투자가치가 떨어진다는 점 때문에 물적분할이 이루어지게 되면 소액 주주 즉, 개인투자자들의 피해와 반발이 큰 편입니다. 물적분할이 이루어지는 법인이 일반적으로 해당 기업의 신사업을 떼내는 경우가 많고, 해당 신사업의 가치를 크게 평가하여 투자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물론 간접적으로 지배의 영역으로 둘 수 있겠지만, 이는 자연스럽게 투자자들의 반발을 일으키게 됩니다.
물적분할과 인적 분할 모두 특정 사업부문을 분할하는 것입니다.
차이는 수평적이나 수직적이냐의 차이이고요.
1. 물적분할
물적분할은 수직적인 경우이고, 분할법인이 존속법인 아래로 들어갑니다. (존속법인이 신설법인을 100% 소유하게 됩니다)
단순히 구조만 바뀌는 것이므로 주식 가치 변동은 없습니다만, 그 목적에 따라서 주가가 움직입니다.
분할 수 가만히 있는 경우는 가치변동은 없고, 1) 매각, 2) 분할법인 상장, 3) 투자유치 정도의 옵션이 있습니다.
+이냐 -냐가 바로 정해지는건 아닙니다. 1,2번의 경우 매각가격, 상장가격에 따라서 +가 될수도, -가 될 수도 있습니다.
3)투자유치의 경우도 어떤 회사의 유치를 받느냐 (향후 사업영위시 시너지가 잘 나거나 잠재력이 큰 고객사에게 투자를 받느냐)에 따라 +가 될수도 -가 될 수도 있습니다. 예로, 한국의 드라마 제작사가, 비슷한 규모의 다른 제작사로부터 투자를 받느냐, 넷플릭스로부터 투자를 받느냐, IQIYI로부터 투자를 받느냐에 따라 모두 주가는 다르게 움직일 것입니다.
그러나 분할신설법인의 사업부문이, 분할전법인의 핵심동력일 경우 일반적으로 부정적입니다.
분할후 아무것도 안한다면 문제가 없지만, 보통은 무엇이든 하기 때문이고, 당장 안하더라도 언제든 실행할 여지가 있고, 실행할 경우 기존주주의 신설법인 소유권이 희석되거나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예: LG화학->LG에너지솔루션 상장)
2. 인적분할
수평적 분할입니다. 흔하게 볼 수 있는 경우는 지주회사 구조로 전환할 때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옛날 : 태평양-아모레퍼시픽, 최근 : F&F홀딩스 - F&F 가 있습니다.
보통은 자산들은 존속법인, 사업은 신설법인에 몰아주게 됩니다.
일반적으론 신설법인지분가치가 존속법인의 자산가치 중 대부분일 경우 주가는 지주회사는 하락, 사업회사는 상승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통상, 신설법인의 자산은 영업관련자산과 재고/매출채권이 대부분이므로 영업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분할비율을 받기 때문에, P/E비율이 확 떨어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럴 경우 직전 P/E에 준하게 쩜상으로 빠르게 맞춰지므로 싸게 살 기회는 거의 없습니다. 보유주식을 쩜상이라고 일찍 파는 우를 범하면 안됩니다.)
지주회사 전환 경우와 다른 예로 신세계-이마트가 있습니다.
이는 정용진-이마트, 정유경-신세계 형제경영 체제를 만들기 위함이었고, 일반적으로 흔하진 않습니다.
모두 사업회사이므로, 주가는 각 사업회사의 가치에 따라 움직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