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자연인 되고파~~^^
자연인 되고파~~^^22.11.06

날씨가 추워지면 건조해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여름날씨에 비해 날씨가 차가울수록 점점건조 증상이 나타납니다.

원인이 무엇일까요

고수님의 고견을 묻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6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의 기단 때문입니다.

    여름에는 덥고 습한 북태평양기단의 영향을 받고

    가을,겨울,봄에는 차고 건조한 대륙성기단의 영향을 받습니다.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대륙성 기단은 봄,가을 양쯔강기단이고 겨울은 시베리아 기단 입니다


    차고 건조한 대기는 포화수증기의 양이 고온다습한 대기보다 적습니다.

    하여 품을수 있는 수증기 자체가 적은 것입니다.


    대기는 온도가 내려가면 분자간의 활동이 줄어들고 이로인해 분자간의 간격도 짧아지게 됩니다.

    분자간의 간격이 적으니 수증기가 들어 갈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는 것입니다.

    하여 차가운대기는 수증기가 적어 건조할수 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가 뜨거워지면 분자사이의 거리가 멀어져서 공기 밀도가 내려가고 수분을 많이 함유할 수 있게 됩니다. 반대로, 공기가 차가워지면 밀도가 조밀해지고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감소하게 됩니다. 겨울철에는 공기가 건조해지기 때문에 피부의 수분 손실 속도도 빨라집니다. 피부가 건조해지면 정전기가 잘 일어나고 피부 건조증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는 가습기를 틀거나 주전자에 물을 끓여서 주변 환경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해야 합니다.


  • 공기 중에는 수증기가 포함될 수 있는 양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 값은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온도가 높아지면 수증기가 공기에 많이 포함될 수 있고,

    온도가 낮으면 수증기가 적어집니다.

    따라서 겨울에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수증기가 적어져 건조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날이 추워서라기 보다는, 우리나라가 겨울철에 추워지는 이유는 북쪽의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아서 추워지는 거랍니다. 시베리아 기단은 온도가 낮을 뿐 아니라, 건조한 대기를 갖고있어서 추워서 건조하기 보다는, 추움+건조함이 같이 내려온다고 보시면 되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가을과 겨울에는 한랭하고 건조한 기단이 들어오기 때문에 건조하여 입술이나 손, 발 등이 잘 틉니다. 그래서 핸드크림, 립밤등을 꼭 발라주어 보습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