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슬기로운줄나비104
슬기로운줄나비10423.04.01

머리카락이 곱슬인경우와 직모인 경우는 무슨 차이 때문에 생기는건가요?

제가 태어났을때는 곱슬이다가 나이 먹으면서 지금 악성곱슬인데 , 대체 무슨 원인으로 이렇게 되었을까요?

곱슬과 직모의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머리카락의 곱슬거림과 직모의 차이는 주로 머리카락의 구조적인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머리카락은 각각의 헤어 필라멘트(Hair filament)가 크게 3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구성요소는 케라틴, 코르텍스, 컷클(또는 표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머리카락의 곱슬거림은 케라틴의 섬유 구조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곱슬머리를 가진 사람들의 머리카락은 일반적으로 직물 속에 있는 실크나 울처럼 비듬처럼 감겨있는 굴곡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굴곡은 케라틴 섬유 구조에서 나타나는 피부 파열 섬유 구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피부 파열 구조가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으면 머리카락이 곱슬거리게 됩니다.

    반면 직모는 머리카락의 케라틴 섬유 구조에서 전체 구조가 더욱 일직선적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 때문에 머리카락이 곱슬거리지 않고 일직선적인 형태로 자라게 됩니다. 이러한 머리카락 구조의 차이로 인해 곱슬머리와 직모가 생기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1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머리카락이 곱슬인 경우와 직모인 경우는 주로 두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첫 번째는 머리카락의 구조입니다. 모든 머리카락은 키르틴이라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물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키르틴 섬유의 구조와 방향이 머리카락의 모양을 결정합니다. 곱슬머리는 머리카락의 키르틴 섬유가 직각이나 곡선으로 휘어져 있기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반면, 직모는 키르틴 섬유가 거의 일직선으로 나란히 놓여 있기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유전적인 요인입니다. 머리카락의 형태는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며,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가 머리카락의 형태를 결정합니다. 만약 부모 중 한 명 이상이 곱슬머리인 경우, 자녀도 곱슬머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머리카락이 곱슬인 경우와 직모인 경우는 머리카락의 구조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며, 이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습니다.


  • 머리카락의 곱슬임과 직모의 차이는 머리카락의 구조적인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머리카락은 키레아틴 단백질로 이루어진 직경 0.05mm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형 구조입니다. 곱슬 머리카락은 이 머리카락의 구조적인 특징에서 비롯됩니다. 곱슬 머리카락은 머리카락 내부에 부분적으로 있는 공기의 영향으로, 머리카락이 휘어지고 튀어오르는 모양을 가지게 됩니다. 반면 직모 머리카락은 머리카락의 완전한 원형 구조로 인해 휘어지지 않고 고정된 모양을 가지게 됩니다. 이러한 머리카락의 구조적 차이에 의해 곱슬 머리와 직모 머리가 형성됩니다. 머리카락의 곱슬 여부는 유전적인 영향, 환경적인 요소, 머리카락의 구조적 특징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머리카락의 곱슬임과 직모는 머리카락의 구조적 차이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머리카락은 각각 세포로 이루어진 모양이 마치 비늘처럼 생긴 질투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질투구조가 곱슬머리와 직모의 차이를 만들어내게 됩니다.

    머리카락의 곱슬머리는 질투구조가 비교적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고, 이러한 구조로 인해 머리카락이 굴곡을 더 많이 만들고, 또한 머리카락 내부에 공기가 더 많이 갇히게 됩니다. 따라서, 머리카락이 더욱 살짝 툭하게 돌출되며, 원형보다는 타원형에 가까운 곡선 모양을 띄게 됩니다.

    반면에, 직모는 머리카락의 질투구조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굴곡을 덜 만들고, 공기가 덜 갇히게 됩니다. 따라서, 머리카락이 덜 돌출되며, 원형에 가까운 모양을 띄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 때문에, 곱슬머리는 머리카락을 더욱 탄력있고 윤기있게 만들어 주는 반면에, 머리카락의 탈모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반면에, 직모는 머리카락의 탈모 문제는 적지만, 머리카락이 덜 탄력있고 윤기가 없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직모,곱슬은 유전적인 이유로 결정이 되는데요.

    직모,곱슬여부는 털이나는 모공에 의해 결정이 됩니다. 어린시절때는 모공모양이 자리잡기 전이 였던 것 같습니다.

    → 곱슬머리 모낭이미지를 검색해보시면 모낭이 휘어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곱슬머리 유전자가 우성인자라는 것이다. 즉 곱슬머리 인자와 곧은머리 인자가 만날 경우 곱슬머리가 된다는 설명이다. 따라서 부모 중 한명이 곱슬머리라면 자녀는 곱슬머리일 가능성이 크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머리카락이 직모와 곱슬머리가 되는 것은 유전적인 요인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머리카락의 구조는 유전자에 의해 결정됩니다. 직모와 곱슬머리는 머리카락의 표피층의 모양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유전자에 의해 조절됩니다.


    특히, 머리카락이 곱슬머리인 경우에는 머리카락 내부의 표피층이 둥글게 휘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머리카락의 특징은 대개 부모, 조부모, 형제, 자매 등 가족 구성원 중 한 명 이상에게서 유전적으로 전달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머리카락의 직모와 곱슬머리는 다양한 유전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모든 경우가 단순한 유전적 패턴으로 설명될 수는 없습니다. 즉,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환경적 요인 등 다른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곱슬머리를 택하겠다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곱슬머리는 보통 모공이 곡선이거나 모공 단면이 원형이 아닌 경우 모발이 구불구불 자라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유전적 영향이 크다. 또 어릴 적 곱슬머리가 아니었더라도 사춘기나 갱년기를 전후로 호르몬 분비 혹은 자율신경계의 영향 등에 의해 곱슬거리는 정도와 형태가 달라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여러 인종 중에서 유독 흑인의 머리카락이 심한 곱슬인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그 원인을 기후의 영향으로 보고 있다. 흑인, 즉 아프리카를 발상지로 하는 흑인종들은 더운 날씨에 적응하기 위해 곱슬머리로 진화했다는 것이다. 곱슬머리는 머리카락 사이에 땀이 잘 괴지 않고, 머리카락 사이의 공간 때문에 수분 증발이 용이하다. 백인의 경우 신체 보온을 위해 직모 형태의 머리카락을 갖고 있는데, 우리 나라만 해도 북쪽보다 남쪽 사람들이 곱슬머리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