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끝까지반짝빛나는보쌈
끝까지반짝빛나는보쌈

EDTA가 증류수에 잘 녹지 않을때 NaOH를 조금씩 넣어주면 잘 녹는 화학적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EDTA가 증류수에 잘 녹지 않을때 NaOH를 조금씩 넣어주면 잘 녹는 화학적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EDTA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센트산)가 증류에 잘 녹지 않을 때 NaOH(수산화나트륨)를 추가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 이유는 EDTA의 화학적 특성 때문입니다. EDTA는 여러 개의 카르복실 그룹을 가지고 있어, 이들 그룹이 수산화나트륨의 오하이드록시 이온(OH⁻)과 반응하여 소금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 소금 형태는 더욱 수용성이 좋기 때문에 물에 잘 녹게 됩니다. 즉, NaOH를 첨가하면 EDTA의 용해도를 높이는 염의 형태로 전환되어 잘 녹게 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EDTA는 킬레이트제라고도 불리울정도로 금속이온과 결합을 잘합니다 금속과 이온결합을 하면서 물에뎌한 용해도가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edta가 증류수에 잘녹지 않을때 naoh를 조금씩 넣어주면 잘녹는 이유는 edta의 특성과 naoh의 염기성 특성 때문입니다. NaOH를 첨가하면 EDTA의 카복실기에서 H⁺ 이온을 제거하여 이온화된 형태인 EDTA⁴⁻로 변환됩니다. 이 이온화된 형태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지므로 EDTA가 물에 잘 녹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