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3d안경의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3d영화는 3d 안경을 통해서 보는데 3d안경을 안 쓰면 화면이 흔들려서 보이고 3d안경을 쓰면 사물이나 캐릭터가 눈 앞까지 오는 것처럼 보이더라구요. 3d안경의 원리가 무엇이길래 그렇게 보이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요새 가장많이 사용하는 편광안경의 원리입니다
원리 : 편광 방식은 정확히는 필름 패턴 편광(Film Patterned Retarder, FPR)이다. 또는 패시브 편광글라스 방식 줄여서 패시브 방식이라고도 한다. 3d 영상을 보기에 가장 피로도가 적고 적합한 방식이다. 시간 분할을 하여 구현되는 셔터 글래스 방식과는 달리, 필름 패턴 형광은 공간 분할 기술을 사용한다. 편광안경 방식은 디스플레이 전면에 패턴 편광 빛의 편광 방향을 제어하는 광학 소자를 부착하여 수평 방향의 짝수 및 홀수 라인에서 서로 다른 편광 특성의 빛이 나오게 한다. 짝수 및 홀수 라인에 각각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이를 편광 안경을 착용하고 시청하면,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는 각각 짝수 라인과 홀수 라인만이 보이는 원리를 이용한다.
우리의 눈이 물체를 볼 때, 물체가 하나로 보입니다.
하지만 인간의 눈은 두 개 입니다.
즉, 양쪽 눈으로 물체를 바라볼 때 거리와 각도를 다르게 하여 인식하여 입체감을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이 원리로 3D안경이 영화를 입체감 있게 보이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