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국내 화장품 무역 수출이 중국이외에 일본이나 미국으로 크게 수출량이 증가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최근에 다시 K뷰티가 시장에서 떠오르는데요. 그런데 이게 과거와 달리 국내 화장품의 수출량이 중국에서가 아닌 오히려 일본과 미국에서 크게 성장하면서 국내 화장품 수출성장이 커지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국내 화장품 수출무역에서 일본시장과 미국시장에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 입니다.

    최근 중국에서 소비가 위축되고 국내 로컬 브랜드의 공세가 거세지면서 최근 화장품 업계는 다른 국가로 판로를 개척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미국과 일본에서 음악과 드라마 영화에서 종횡망 무진하고 있는 K 문화의 확산도 기회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화장품 유통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졌으며 일본은 제 4차 한류 시대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과 유럽에서도 한국 화장품을 찾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대일본 대 미국 화장품 수출은 점점 증가하고 있고 대중국 수출이 크게 나 늘어나면서 비중은 하락했지만 최근 다시 상승세에 있습니다. 최근 중국에서 소비가 위축되고 국내 로컬 브랜드의 공세가 거세지면서 최근 화장품 업계는 다른 국가로 판로를 개척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미국과 일본에서 음악과 드라마 영화에서 종횡망 무진하고 있는 K 문화의 확산도 기회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화장품 유통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졌으며 일본은 제 4차 한류 시대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과 유럽에서도 한국 화장품을 찾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대일본 대 미국 화장품 수출은 점점 증가하고 있고 또한 대중국 수출이 크게 나 늘어나면서 비중은 하락했지만 최근 다시 상승세에 있습니다. 이러한 수출 증가 요인으로는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화장품 시장에 중국에서의 지속적인 성장과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의 중장기 실적 가시성이 높아지지 듣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이러한 화장품의 브랜드 인지도를 전 세계로 확장해서 우리나라의 화장품 업계가 글로벌 화장품 산업의 중심이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한한령 및 중국내 브랜드 강화로 수출이 감소한 중국 대신 k pop 및 드라마의 영향으로 일본 및 미국에서 중소형 화장품의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아이돌에 대한 인기와 인스타그램 및 SNS 의 입소문.증가로 한국산 화장품에 대한 뷰티열풍이 지속되고 있는것으로 확인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근 들어 중국이 아닌 일본이나 미국으로의 화장품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습니다만 가장 큰 이유로는 우리나라 한국 드라마나 K팝 문화가 일본이나 미국까지 많이 퍼져 있기 때문으로 사료됩니다. 또한 최근 들어 중국으로의 화장품 수출은 중국에서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화되면서 수출이 감소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에 있는 기업들은 중국으로의 전략이 아니라 리본이나 미국 등 우리나라 K팝 문화가 깊이 박혀 있는 그러한 나라에 화장품을 수출하기 위한 전력과 계획을 세워서 성과가 나오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제는 미국과 일본을 넘어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도 우리나라 케이팝 문화가 성형하고 있으니 이에 따라 우리나라 화장품이 해당 동남아 국가들에서도 많이 수출될 수 있도록 우리나라 한국 화장품 기업들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한국무역협회의 k-stat의 자료를 보면 여전히 중국의 화장품 수출액이 가장 높고 압도적인 수치를 보이고 있으나,

    미국이나 일본의 수출액도 높아지고 있는 보입니다.

    아무래도 수출 다변화전략에 따라 여러 국가에 물품을 수출하고 그에 대한 실적을 내고자 하는 많은 업체들의 노력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는 중국내 시장의 축소에 따라 한국의 업체들이 일본 및 미국으로 판매를 집중하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전략이 잘 먹혀서 현재와 같이 중국의 수출금액보다 미국, 일본의 수출합이 더 크게 반영되었기에 현재 화장품회사들의 매출이 다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간단하게 해당 지역에 판매역량을 집중하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2024년 1분기 화장품 미국과 일본의 수출실적 합계가 중국 실적을 초과하였습니다. 

    미국과 일본은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 2위와 3위입니다. 

    중국의 화장품 수출이 저조한 이유는 중국의 안전성평가를 비롯한 규제와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활력이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반면 미국 일본을 비롯한 수출 비중이 높아진 이유는 수출 국가 다변화가 이뤄지면서 중국 등의 특정국 쏠림 현상이 완화되었기 때문입니다. 

    기초화장품(스킨, 로션 등)의 수출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일본은 색조화장품(페이스파우더, 립스틱 등)의 수출 비중이 높았습니다. 

    미국 일본 뿐만 아니라 4위인 베트남, 5위 홍콩도 전년 동기 대비 수출비중이 증가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최근 국내 화장품 무역 수출에서 중국 이외의 일본과 미국 시장에서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특히 일본에서는 K-뷰티 열풍이 자연친화적 성분, 혁신적인 기술력, 합리적인 가격 등이 일본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 한국 화장품 브랜드들은 미국 시장에서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였으며,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차별화된 제품력으로 미국 소비자들에게 인지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 한국무역협회의 'K-뷰티 수출현황 및 신규 유망시장'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미국과 일본의 수출 증가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의 3대 화장품 수출국은 중국, 미국, 일본이다. 대중국 화장품 수출 감소는 중국의 소비위축, 한한령과 애국소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났다. 다만 중국은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대상국 1위 자리를 계속 지키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중요도가 높은 국가다.

    대미국 화장품 수출은 크게 증가해, 2023년 미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은 중국을 제치고 점유율 5위로 부상했다. 성분과 사용감 등 한국제품의 질에 만족해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일본 수출 역시 증가해 일본 화장품 수입시장에서 2022년 한국이 프랑스를 제치고 점유율 1위로 상승했다. 여타 국가와 달리 색조화장품이 수출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는데, 고령화된 일본사회에서 현지업체가 소홀히 한 10~20대 대상 색조화장품의 빈자리를 한국브랜드가 채웠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