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전지환 박사
전지환 박사

금리가 계속해서 오를건지 예측가능한가요?

미국에서 분기별로 0.7%씩 금리가 인상되고 있어요 11월도 0.7%인상이 예측된다고 하는데 언제까지 금리가 오를지 예측 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언제까지 금리가 오를것인지에 대해서는 이 금리까지 무조건 오를 것이다라는 답은 없습니다.

      다만 금리에 대한 예측이다보니, 금리릴 인상하는 원인인 인플레이션의 향후 예측, 그리고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경기의 호조세에 대한 근거로 사용되는 실업률 현황과 금리의 인상을 결정하는 연준 인사들의 성향을 보면서 금리를 예측하게 됩니다.

      현재 연준이 목표로 하는 인플레이션 값은 2%이며, 현재 10월 13일에 발표된 CPI 값은 8.2%였습니다. 그리고 그 전월의 CPI값은 8.3%로 CPI지수가 빠르게 하락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근원 CPI는 상승하여 향후 연준이 금리인상의 속도를 완화하지 않고 빠르게 할 것이란 근거가 되었습니다.

      그렇기에 11월 2일에 예정된 FOMC에서는 0.75%의 금리인상을 높은 확률로 예측하고 있으며, 12월 14일에 예정된 FOMC에서도 금리인상 수준이 0.5%에서 0.75%로 예상을 하고 있는데, 여기서 최근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의 연준이 금리인상속도에 대한 완화를 논의를 해야하는 시점이라는 발언으로 인해서 12월 금리인상 수준을 약간 하회하여 예측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연준에서 꾸준하게 이야기하는 목표값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예상금리는 5%대이며,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인상을 이어갈 것이라고 꾸준히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내년 상반기까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질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우리나라 또한 환율방어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서 내년 중반까지는 꾸준하게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랄게요! 좋은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11월에도 미국 기준금리의 0.75%인상이 유력한 상황입니다.

      다만, 연준은 내년 상반기 및 5%내외를 금리인상의 최종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이러한 부분에 따라 흘러갈 것이라 생각되지만,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는 경우에는 금리인상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아울러, 금리인상이 끝나더라도 인플레이션이 바로 잡히지 않을 것이기에 연준은 고금리 정책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기준금리가 4.50~4.75%에 한국 3.25%면 한-미 기준금리 역전 폭이 150bp나 되는데, 역전 폭이 확대돼 원화 절하 압력이 커지면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인플레 우려도 커집니다. 역전 폭이 커지지 않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 한국 기준금리 정점 전망을 3.25%에서 3.50%이 될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