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홍경래의 난의 이유가 되는 서북지방민에 대한 차별은 언제부터 어떤 이유로 시작이 됐나요?

지역차별에 대한 것은 현재에도 문제가 되는 사안인데요.

조선 말기에 홍경래의 난이 일어난 이유도 서북지방민에 대한 차별이 이유가 되어서 일어난 것이라 하더군요.

그러면 이 서북지방민에 대한 사회차별은 언제부터 어떤 이유로 발생하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처음부터 평안도를 찍어서 차별한 것이 아닌 아무래도 소위 '좋은 가문', '좋은 문벌'이 없는 곳을 차별하다 보니 이 과정에서 평안도가 차별받게 된 것이고, 이런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홍경래의 난이 발발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 홍경래의 난의 배경으로 서북민에 대한 차별 대우가 있습니다. 서북민은 평안도 사람들을 의미하며, 이들은 지리적으로 한반도 북부 지방에 위치하여 중앙 정부의 입자에서는 변방으로 취급받았습니다. 또한 평안도는 척박한 땅이 많아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리고 이 지역은 성리학이 제대로 보급되지 않아 관직 진출 및 승진이 어려웠습니다.

    서북민이 차별을 받게된 계기는 세종 때 북방 개척 때 이후 차별이 본격화되었습니다. 특히 중종 이후 사민 정책이 변질되어 죄인의 가족을 서북 지방으로 보내는 형태로 바뀌면서 유배지로 낙인찍히게 되면서 더욱 차별이 심화되기 시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