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깔끔한바다표범182
깔끔한바다표범18223.03.13

소음이 없는 방에서 인간은 왜 견딜 수가 없는 건가요?

소음이 없는 방 무향실에서 얼마나 버티는지 실험하는 영상을 봤는데요

사람들이 오랫동안 버티지를 못하더라고요

조용하면 오히려 더 편안함을 느낄거 같은데 왜 못버티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귀는 암소음이라는 백그라운드 소음에 적응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무향실에서는 반사되는 소위 잔향 현상이 없기 때문에 귀가 먹먹해집니다. 따라서 점점 견디기 힘들어지는것이죠.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소음이 없는 방이나 무향실은 일반적인 생활에서 경험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처음으로 그런 환경에서 오랫동안 머물러 있는 경우가 드뭅니다. 그러므로 이런 실험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오래 버티기 어렵다는 것은 그다지 놀랍지 않은 결과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실험에서 집중력이 떨어지고 불안감이 생긴다고 보고한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는 무향실에서는 외부 자극이나 소리가 없기 때문에, 사람의 뇌가 지속적으로 자극을 받지 못해 일어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뇌가 지루함과 적응을 느끼게 되어, 그로 인한 불안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는 지속적으로 자극을 받는 환경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그와 달리 소음이 없는 환경에서는 인간의 감각이 둔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지루함, 불안감,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험에서는 사람들이 오래 버티기 어려운 것은 자극이 부족한 환경에서의 불안감, 지루함 등의 불쾌감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음이나 자극이 없는 환경에서 몇 시간을 보내는 것은 일상에서는 경험하기 어려운 특별한 체험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음이 없는 방에서 인간이 견딜 수 없는 이유는, 이것이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뇌는 계속해서 외부 자극에 노출되어 있으며, 적절한 자극이 없으면 뇌는 지루해지고 쉽게 지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뇌가 일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그 결과로 인해 불안과 혼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소음이 없는 환경에서는 신경계의 작동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뇌는 기본적으로 외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신경계의 활동을 조절합니다. 하지만 소음이 없는 환경에서는 외부 자극이 없기 때문에 뇌가 대응할 필요성이 없어지며, 이에 따라 신경계의 작동이 불균형하게 됩니다.

    또한, 소음이 없는 공간에서는 우리 몸 내부의 소리가 더욱 두드러집니다. 예를 들어 심장 박동 소리나 호흡 소리 등이 뚜렷하게 들리기 때문에, 이러한 내부적인 소리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음이 없는 공간에서는 적절한 자극이 부족하여 불안과 혼란을 유발하며, 신경계의 작동이 불균형하게 되고 내부적인 소리가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인간은 소음이 없는 환경에서 오랜 시간을 견딜 수 없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소음이 없는 환경에서 오랫동안 머물러 있으면 인간의 뇌는 신경과학적인 현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자극 부족" 또는 "강박적 자극 부족"이라고도 합니다.

    일상생활에서는 소음, 냄새, 시각적 자극 등 다양한 자극이 끊임없이 우리의 뇌에 입력됩니다. 이러한 자극들은 뇌가 지속적으로 활동하게 만들어줍니다. 그러나 자극이 부족한 환경에서는 뇌가 지속적으로 자극을 받지 못해 일종의 "자극 공포증" 현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따라서, 소음이 없는 방 무향실에서는 긴 시간 동안 머무르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3

    소음이 없는 방이나 무향실에서 오랫동안 버티기가 어려운 이유는 인간의 뇌와 신경체계가 항상 외부 자극과 상호작용하면서 발전해왔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뇌는 항상 외부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이고, 그 정보를 통해 현실을 인지하고 행동을 결정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극이 없는 환경에서는 뇌가 지루하거나 불안정해지고, 이는 인간의 정서적, 인지적 상태에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인간의 생물학적 요구사항 중 하나는 일정한 자극과 활동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신체는 일정한 운동량을 유지해야 건강하게 유지됩니다. 마찬가지로 우리의 뇌도 일정한 자극과 활동이 필요하며, 이것이 부족하면 정신적인 스트레스나 불안감, 우울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음이 없는 방이나 무향실에서 오랫동안 버티기가 어려운 이유는 인간의 뇌와 신경체계가 항상 자극적인 환경에서 발전해왔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항상 자극적인 환경에서 살아가며, 자극이 부족한 환경에서는 불안정해지고 지루함을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인간은 일정한 자극과 활동이 필요하며, 이것이 부족하면 정신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들이 오랫동안 조용한 방에서 버티지 못하는 이유는 인간의 뇌가 지속적으로 외부 자극을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뇌는 감각 자극을 통해 외부세계와 상호작용하며, 이것이 우리의 정신적 안정과 편안함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조용한 공간에서는 뇌에 계속해서 들어오는 자극이 부족하기 때문에, 우리는 불안, 불쾌감, 무기력 등의 정서적 변화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강한 스트레스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긴 시간 동안 이러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 인간의 생리적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인체는 주변환경에 적응하며,

    주변에 소음이 기본값(default)으로 있고 이에 적응합니다.

    따라서 영점조정이 작은 소음에 맞춰져 있죠

    그런 상태에서 갑자기 무소음 방에 들어가면 오히려 Zero가 아니라 마이너스 소음영역에 들어갑니다.

    따라서 신체에 문제가 생깁니다.

    마치 이는 무균실에서 사람이 살게 되면 몸이 더 안좋아지는것과 같습니다

    적당한 균이 있어야 사람이 삽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뇌는 항상 외부 자극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소음이 없는 공간에서는 인간의 뇌는 소리 자극 부족으로 인해 불안, 두려움, 혹은 지개 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환경에서 듣게 되는 배경 소리는 인간의 정서적 안정감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소음이 없는 공간에서는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느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소음이 없는 방에서 인간이 견딜 수 없는 이유는 신체의 자극 반응 때문입니다.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늘 활동 상태에 있으며, 인체는 지속적으로 소리, 빛, 온도 등의 자극을 받고 이를 인지하고 대처합니다. 따라서 완전한 고요함은 인체에게 지속적인 자극 부족 상태를 유발하게 되어 불안감, 혼란, 우울증 등의 심리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체 내부의 생리적인 소리들도 인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장 박동 소리, 호흡 소리 등은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완전한 고요함에서는 이러한 소리들도 인지되지 않아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