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드론은 무슨 원리로 멀리서도 통신이 되는 걸까요?

드론에 대해서 보다보면 너무 궁금해 집니다.

드론은 아주 멀리 있어도 조종이 되고 화면도 비춰주는데 어떡해서 이런 원리가 가능한 건지 궁금합니다.

보통은 블루투스들은 조금만 떨어져있어도 제대로 반응을 안하는데 드론은 아주 잘하는 것이 신기할 따름이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택상 전문가
    유택상 전문가
    서울교통공사 검수팀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드론이 멀리서도 통신할 수 있는 이유는 주로 라디오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드론 조종은 주로 2.4GHz 또는 5.8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이는 블루투스보다 더 멀리 전파될 수 있어 장거리 통신이 가능합니다. 또한, 드론에는 GPS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어 위치 추적과 안정적인 비행을 돕습니다. 드론이 실시간으로 영상을 송출할 수 있는 이유는 디지털 비디오 송신 기술 덕분입니다. 이 기술은 압축된 비디오 신호를 전송해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모든 요소가 결합되어 드론이 멀리서도 안정적으로 조종되고 영상 전송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드론이 먼 거리에서도 통신 가능한 이유는 주로 두 가지 기술 덕분입니다. 첫 번째는 고주파 무선 주파수(RF)입니다. 드론은 와이파이와 유사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거나 심지어 특별히 할당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어, 더 긴 거리에서도 강력한 신호를 제공합니다. 두 번째는 최신 드론에 탑재된 고급 통신 프로토콜과 증폭 기술 덕분에 데이터 전송 속도와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드론과 조종기 간의 통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

    드론이 멀리서도 통신이 가능한 원리는 주로 무선 통신 기술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무선통신기술은

    일반적으로 2.4GHz 또는 5.8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이 주파수 대역은 무선 인터넷(와이파이)와 블루투스와 유사하지만, 드론은 더 강력한 송수신 장비를 사용합니다.

    2.4GHz는 더 넓은 범위에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지만, 많은 장비가 이 주파수를 사용하여 간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8GHz는 간섭이 적지만 범위가 제한적입니다.

    드론과 조종기 사이에는 강력한 무선 송수신 장치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장치는 신호를 송출하고 수신하여 안정적인 통신을 유지합니다.

    드론의 통신은 무선 송수신 기술과 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GPS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조종하고, 비디오를 스트리밍하며, 데이터를 교환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드론이 넓은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드론이 멀리 떨어져 있어도 조종이 되고 실시간으로 화면을 비춰줄 수 있는 것은 주로 라디오 주파수(RF)와 Wi-Fi 기술 덕분입니다. 드론 조종기는 고출력 라디오 주파수를 사용해 드론과 통신하며 이 주파수는 블루투스보다 훨씬 더 긴 거리를 커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드론의 카메라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해 5.8GHz 또는 2.4GHz 대역의 Wi-Fi를 사용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조종기나 스마트폰으로 전송합니다. 일부 고급 드론은 전파 중계기를 사용해 더 넓은 범위에서도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 기술들 덕분에 드론은 멀리 떨어져 있어도 안정적으로 조종할 수 있고 실시간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조만간 드론으로 모든것이 가능할 정도로, 드론은 엄청나게 빠르고 강한 발전을 했습니다.

    드론이 멀리서도 소통이 잘 되는 것은 주파수 대역, 안테나와 전송파워 등, 인공위성의 발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정확한 위치는 GPS를 아주 고급으로 설치해서 위치의 1M 움직임의 단위까지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차후에는 해외에도 보낼 정도의 배터리와 기술이 발전할 겁니다. 실제로 그렇게 하는 나라도 많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