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완벽한말똥구리64
완벽한말똥구리64

몇백만년 전 유인원의 뼈를 보고 이족보행을 하는 지 알아내던데 무엇을 보고 알 수 있는 건가요?

400만년전 유인원의 화석을 발견 했는데 이 종이직립보행을 하는지를 알아내던데 뼈의 어느 부분을 보고 이족 보행을 하는지 알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보통 척추뼈를 보고 쉽게알 수 있습니다.

    4족보행을하는 동물들은 척추가 c형이거나 일자형이지만 2족보행을하는 동물들은 s형태를띱니다.

    이외에도 발바닥의 크기나 골반의 각도등을 보고 판단합니다.

  • 이족보행 여부를 말씀대로 뼈화석을 보고 판단하게 됩니다.

    먼저 이족보행을 하는 생물의 골반은 짧고 넓으며, 아래쪽으로 퍼져 있는 형태입니다. 이는 직립 자세를 유지하고 체중을 지지하는 데 효과적이죠. 반면, 네발로 걷는 동물의 골반은 길고 좁으며, 위아래로 납작한 형태입니다.

    또 무릎 관절은 이족보행의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무릎 관절이 발달하고, 무릎뼈가 크며, 정강이뼈와 종아리뼈가 직선에 가까울수록 이족보행에 적합하다고 판단합니다.

    그리고 발의 아치는 체중을 분산시키고 걸을 때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발 아치가 잘 발달되어 있고, 엄지발가락이 다른 발가락들과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면 이족보행을 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척추의 곡선은 자세를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족보행을 하는 생물의 척추는 S자 형태로 휘어져 있으며, 목 부분과 허리 부분에 굴곡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두개골의 아래쪽 부분인 대후두공의 위치도 중요한 단서입니다. 이족보행을 하는 생물은 대후두공이 두개골의 아래쪽 중앙에 위치하여 머리를 똑바로 세울 수 있도록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주로 발바닥의넓이나 골반과대퇴골의 경사, 회전방향, 척추의 모양등을통해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직립보행을하는 유인원의 척추모양은 완충작용을 위해 S자모양을 하고있는것이 특징입니다.

    감사합니다.

  • 400만 년 전 유인원의 화석에서 이족보행 여부를 판단하는 데는 주로 골반, 대퇴골, 발뼈, 척추를 관찰합니다. 골반이 넓고 짧으면 직립보행에 적합하며, 대퇴골이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걸을 때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좋습니다. 발뼈가 아치 형태를 띠거나 발가락이 직선에 가깝다면 이족보행의 증거로 봅니다. 척추의 경우, S자 형태가 발달해 있으면 직립 자세를 유지하기 용이하다고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