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일 삼일절을 아이들에게 어떻게 설명해주면 좋을지요?
오늘이 삼일절인데, 초등학생 아이들에게는 이 날이 어떤 역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제대로 알려주고 싶더라고요. 마냥 쉬는 날이라고 생각하지 않도록 알려주고 싶은데 아이 눈높이에 맞게 어떻게 잘 설명해야 될까요?
역사적인 배경을 설명하려고 하니 너무 무거워지나 싶기도 하고 애들 수준에 맞게 이해시키려고 하니 막막하더라고요.
너무 어렵지 않게 설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어떤 자료를 보여주면 좋을지... 특히 독립선언서나 만세운동은 어떻게 설명하면 이해하기 쉬울까요?
함께 할 수 있는 활동도 고민이에요. 태극기 그리기나 만들기를 해볼까 하는데 어떤 방식으로 하면 좋을지... 독립운동가 이야기를 들려주려면 누구를 중심으로 해야 할지... 아이가 흥미롭게 들을 수 있는 동화책이나 영상은 없을까요?
현장 학습도 생각 중인데 어디로 가면 좋을까요? 서울 시내에 있는 독립운동 관련 장소나 박물관은 어디가 있는지... 아이와 함께 가기 좋은 곳은 어디인지, 관람 시간은 어떻게 되는지... 특히 오늘 특별 행사하는 곳이 있을까요?
아이들에게 역사 교육 하시는 분들, 어떤 방식으로 설명해주시나요? 아이들의 관심을 끌었던 방법이나 질문에 답하기 좋은 팁도 알려주세요. 특히 역사의 의미를 쉽게 전달하는 방법이 있다면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1 운동은 일제 강점기 독립을 선언하고 국제 사회에 우리민족의 독립을 천명하고 호소한 날입니다. 일제가 우리 민족을 식민지 지배하고 강압적 통치를 통해 노예로 삼고자 하였으나 이를 거부하고 독립을 선언한 것입니다. 또한 3.1운동은 비폭력, 평화적이며,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비록 3.1운동은 일제의 탄압으로 실패하였지만 그 독립 의지를 세계 만방에 알렸습니다. 그리고 임시정부가 수립되고, 본격적으로 무장투쟁 등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일제의 통치 정책이 무단통치에서 이른바 문화 통치로 전환되게 되었으며, 아시아 약소민족의 해방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리고 3.1운동 정신은 대한민국과 헌법 정신으로 계승되고 있습니다.
3.1운동 정신 교육을 위한 활동으로 독립기념관 방문, 그리고 지역 사회의 3.1운동 사적지를 방문하고 역사를 학습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