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조(부)의 체계는 어느 시대에 확립됐나요?
역사적으로 이,호,예,병,형,공의 6조나 6부를 기본체계로 국가를 운영하는 시스템은 어느 나라 어느 시대에서 최초로 기획해서 퍼져나간건가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원은 중국 왕조 당나라의 정부 조직인 "3성 6부제"의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 왕조들의 정부 조직 체제로 기록에 따르면 발해, 태봉, 고려, 조선 왕조가 자국 실정에 맞게 변형하여 도입하였다.[2] 원래 당제(3성 6부제)는 황제국의 정부 체제라서 제후국은 사용할 수 없었으나 발해, 고려 왕조는 그냥 "6부제"를 사용하였고 조선 왕조는 이를 피해 "6조제"를 사용하였다.
조선 개국 당시 공양왕 시기의 조직 이름 및 역할을 계승하여 유지했으며, 태종 연간에 각 조의 으뜸인 정3품 전서(典書)를 정2품 판서로 격상시켰다. 이후 각 임금마다 의정부 밑에 두기도 하고, 독립시키기도 했다.[3]
1894년 갑오개혁으로 폐지되고 내무(기존 이조), 외무(예조 일부), 탁지(호조), 법무(형조), 학무(예조), 공무(공조), 군무(병조), 농상(신설)의 8아문으로 개편되었다가 1895년 자주국 체제에 맞게 내부, 외부, 탁지부, 군부, 법부, 학부, 농상공부의 7부(部)로 바뀌었다.출처: 나무위키 육조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종 5년에는 의정부가 오직 정책의결권만 행사할 수 있었고 실무는 6조가 담당했습니다.
본격적으로 6조 직계제가 시행된 태종 14년에는 의정부는 4대문서에 대한 심의권과, 중죄인에 대한 재심만을 관장하는 업무만이 남게 됩니다. 사실상 그 기능이 거의 없는 것이지요.
다시 세종시기가 되면 의정부 서사제가 부활해서 각 조에서 찬/반 결정해달라고 올리면 의정부 대신들이 동의하는 방식으로 권한이 회복되었구요.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육조(六曹)는 이조·호조·예조·병조·형조·공조를 일컫는다. 육부(六部) 또는 육관(六官)으로도 불립니다. 육부는 982년(성종 1) 중국식 관제를 본떠 설치한 육관, 즉 선관(選官)·민관(民官)·병부(兵部)·의형대(義刑臺)·예관(禮官)·공관(工官)을 말하는데, 995년(성종 14)에 상서육부(尙書六部)로 개칭하면서 성립되었습니다. 이후 근대적인 관제로 개편되는 1894년(고종 31)까지 사사(四司)·육조(六曹)·삼부(三部)·육부(六部)·육사(六司) 등으로 변천, 계승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6조 직계제(六曹直啓制)는 조선 태종과 세조 시기에 존재했던 정치체제이다. 현대 대통령제와 유사하며, 당시 극도로 강력해진 왕권을 상징하는 제도이다.
-출처: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