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보증보험 가입 궁금합니다...
아파트 전세 계약했는데요. 집주인이 전세 끼고 갭투자한걸 이사후 알았습니다. 융자무만 보고 들어가는데 이런적은 처음이라서요.
집주인이 부동산 지식이 상식이하에 말이 안통하는 사람이라 좀 불안하더라구요(당연히 고쳐줘야하는거 안고쳐준다던지, 장기수선충당금 전세입자분께 돌려줘야하는데 왜 내가 주냐는둥..ㅡㅡ)
전세랑 매매가 1억정도밖에 차이가 안나서 더 불안합니다.
그래서 전세 계약할때 부동산계약 전세세입자를 위한 장치가 있는지
아님 제가 따로 가입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집주인 대출등 상태가 어떤지도 제가 어떻게 알수있을까요?
아파트 전세 계약을 하셨다면, 주택도시 보증 공사(HUG)나 서울보증보험(SGI)에서 보증보험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따로 가입하셔야 합니다.
그외에 주민센터에서 전세계약서에 확정일자를 받으면 다른 사람이 같은 집에 전세권을 설정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증금을 보장해주지는 않습니다.
전세권 설정 등기를 하면 가장 강력한 권리를 확보할 수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합니다.
그래서 보증 보험 가입을 추천 드립니다.
집주인의 대출 등 상태는 부동산 등기부등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기부등본에는 집주인의 대출 내역, 압류, 가압류 등의 정보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보증보험에 가입하려면 전세 계약서와 등기부등본, 주민등록등본 등의 서류가 필요하며, 보험료는 전세금의 0.1% - 0.2% 정도입니다.
가입 시기는 전세 계약 체결 후 가능한 빨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집주인이 보증보험 가입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가입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계약 전에 보증보험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세 계약 시에는 부동산 중개인에게 전세 세입자를 위한 장치에 대해 문의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또는 집주인에게 직접 대출 정보를 요청하거나, 금융기관에 방문하여 조회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계약서에 임대차 보증금 반환 조건, 하자보수 책임, 중도해지 시 위약금 등을 명확하게 기재하고,
특약 사항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