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재료공학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

투명한 물체를 만드는 원리가 궁금해요.

우리가 사용하는 물건 중 같은 기능과 모양을 가지고 있어도 투명한게 있고 그렇지 않은게 있는데요. 투명한 것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똑같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을텐데 왜 어떤것들은 투명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투명하다는 것은 원자난 분자들이 규칙적이고 고른 배열을 갖고 있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단결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물체가 투명하기 위해서는 내부 구조가 균일하고 빛의 산란과 흡수가 최소화된 물질로, 이런 물질들은 광학적으로 고르게 배치된 원자나 분자를 가지고 있어 빛을 거의 그대로 통과시키게 되므로, 투명하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물체가 투명하다는 것은 빛이 물체를 통과하여 뒤쪽에서도 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체가 투명하다는 것은 해당 물체가 빛의 투과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투명한 물체는 빛이 물체를 통과할 때 거의 전부 통과하기 때문에 뒤쪽에서 물체가 보이게 됩니다.

    투명한 물체는 물체가 빛을 어떻게 반사, 흡수하고 산란시키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원자나 분자의 구성이 같다 하더라도 물체의 밀도, 크기, 모양, 표면 상태, 내부 구조 등에 따라 빛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같은 구성을 가진 물체라 하더라도 투명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흰색 플라스틱과 투명한 플라스틱은 같은 구성을 가지지만, 흰색 플라스틱은 빛을 반사하고 산란시켜 투명하지 않게 만드는 반면, 투명한 플라스틱은 빛을 거의 통과시켜 투명하게 만듭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물체의 투명성은 주로 그 물질이 빛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물질이 투명하다는 것은 빛이 그 물질을 통과할 때 빛이 흡수되거나 산란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유리나 물처럼 투명한 물질은 원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 빛이 이 원자들 사이를 방해받지 않고 통과할 수 있습니다. 반면 불투명한 물질은 원자들이 빛을 흡수하거나 산란시키기 때문에 빛이 물질을 통과하지 못하고 결국 물체의 반대편이 보이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동일한 원자로 구성되더라도 그 원자들이 배열된 방식이나 그 사이의 간격이 빛의 투과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