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수요일
수요일

시골에가면 밤에 가끔씩 반딧불을 볼수있는데

예전에는 시골에 가면 밤에 반딧불을 종종 볼수가있었는데 볼때마다 느끼는거지만 어떻게 곤충이불빛을 낼수가있는지가 참 궁금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몇몇 생물들은 몸에서 빛을 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생물발광이라고 하는데,

    생물발광의 경우 생물이 화학작용을 거쳐 빛을 내는 현상입니다.

    반딧불의 경우 루시페린을 사용해 빛을 내게됩니다.

    반딧불의 발광에는 루시페린, 효소인 루시퍼레이즈, ATP, 산소가 필요합니다.

    루시페린이 ATP와 반응하여 활성루시페린 + ADP가 됩니다.

    활성루시페린은 루시퍼레이즈에 의해 산화되며 이 과정에서 빛이 방출됩니다.

  • 반딧불이 몸에서 만드는 형광물질의 화확반응 결과입니다.

    반딧불이는 발광단백질인 루시페린과 발광효소인 루시페레이스를 만드는데, 이 물질들이 산소와 결합하면 루시페레이스가 루시페린을 산화하며 빛을 내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반딧불이처럼 생물이 몸에서 스스로 빛을 내는 현상을 '생물발광'이라고 합니다. 반딧불이는 , 배마디 아래 끝에 옅은 노란색 빛을 내는 발광기(light-emitting organ)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발광기에서는 화학반응에 의해 빛 에너지가 방출되는 화학발광의 한 형태인 ‘생물발광’이 일어납니다. 발광물질인 루시페린이라고 부르는 분자가 생체촉매인 효소(루시페라아제)의 작용으로 ATP, 산소와 반응해 생겨난 불안정한 분자가 안정한 상태로 바뀌는 과정에서 빛의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빛을 내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복잡한 반응식이 있지만, 쉽게 요약해서 체내 존재하는 단백질과 효소에 산소가 결합하거나 떨어지면서 나타나는 생체반응입니다. 반딧불이의 발광 생체반응은 열에너지를 발산하는 다른 반응과 달리 독특하게 에너지 발산 과정에서 빛을 발하기 때문에 나타나지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은 복잡한 화학반응을 통해 빛을 내는데, 간단히 설명하자면 산소와 루신이 효소의 영향을 받아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빛을 발산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화학반응을 촉발하는 것은 주로 반딧불의 몸 속의 세포 내에서 일어나며, 이를 통해 빛을 내게 됩니다.

    빛을 내는 이러한 생물 발광 현상은 반딧불이 서로 소통하거나 동료를 찾는 데 도움을 주는 등 여러 가지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 반딧불이가 빛을 내는 현상은 '생물발광'이라고 불리며, 이는 화학적 반응의 결과입니다. 반딧불이의 배 끝 부분에 있는 발광 기관에서 루시페린이라는 물질과 루시페라아제라는 효소가 산소와 반응하여 빛을 만들어냅니다. 이 과정에서 에너지의 거의 100%가 빛으로 변환되어 매우 효율적인 '차가운 빛'을 생성합니다. 반딧불이는 이 빛을 통해 짝짓기 상대를 유인하거나 의사소통을 하며, 때로는 포식자를 경계하는 데 사용합니다. 이러한 독특한 생물학적 메커니즘은 자연의 경이로움을 보여주는 좋은 예시이며, 현재 과학자들은 이를 연구하여 의학 및 기술 분야에 응용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