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질문자 채택 답변
스왑의 경우 두 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단 한 가지 상황을 예로 들어서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A라는 프로젝트가 ICO로 자금을 모으면서 투자자들에게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인 'A토큰'을 지급하였고
3개월 뒤 B거래소에 ERC20 'A토큰'이 상장시킵니다.
그리고 3개월이 흘러 자체 블록체인 메인넷을 오픈하며 ERC20 'A토큰'을 'A코인'으로 스왑하겠다고 공지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ERC20 A토큰을 홀더가 어디에 보관하고 있느냐에 따라 스왑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거래소 지갑에 ERC20 A토큰을 보관한 경우는 거래소 자체에서 A코인 메인넷을 지원하며 알아서 스왑을 진행하여 토큰을 코인으로 바꿔줍니다.
개인 이더리움 지갑에 ERC20 A토큰을 보관한 경우는 해당 프로젝트가 어떤 방법을 쓰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예를 들어 A 프로젝트의 토큰 스왑 안내대로 기존에 갖고 있던 ERC20 A토큰을 프로젝트가 지정해 준 '새로운 메인넷 기반의 고유 주소'로 보내어 토큰 소유를 등록하고 나면 해당 토큰의 수량 만큼 '새로운 A코인'으로 바꾸어 지급해 주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