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재료공학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향후 메모리반도체도 파운드리화가 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가무엇인가요?

이제는 메모리반도체도 파운드리화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데요. 공정 난이도가 더 높아지고 이로 인하여 그런 말이 나온다던데 정확히 어떤 배경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메모리 반도체는 데이터 용량과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더욱 고도화된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는 새로운 재료와 공정 기술을 요구하며, 이를 위한 전문화된 생산 능력이 중요해집니다.

    고도화된 공정 기술을 갖추기 위해서는 대규모 투자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파운드리 모델을 채택하면, 여러 고객의 요구에 맞춰 생산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메모리반도체의 파운드리화는 작년부터 나오던 이야기 입니다. 아시는데로 메모리 반도체의 파운드리화의 내용이 계속적으로 언급되는 이유는 인공지능의 발달로 메모리에 대한 고객사의 요청이 다양해지고 있고 인공지능에 특화된 메모리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기 때문입니다.

    파운드리라는 것 자체가 표준화된 제품을 대량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요구사의 니즈에 맞춘 제품을 소수만 양산 하는 조건으로 이제 제조사의 구매력이 커지고 표준화된 메모리보다 더욱 고성능의 메모리를 요구하다보니 이에 발맞춰 파운드리화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HBM 고대역폭 메모리가 있습니다. 그래서 HBM 메모리는 벌써 커스터마이즈된 형태로 제작을 하고 있고 HBM 을 중심으로 파운드리화가 계속 진행되고 확장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럼 질문 주셔서 감사드리고 궁금하신점 있으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향후 메모리 반도체도 파운드리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이유는 기술적 진보와 시장 요구의 변화에 따라 메모리 반도체의 설계와 제조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파운드리화는 반도체 설계와 제조를 분리해 전문화된 제조 공정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모델인데 이는 비메모리 반도체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되어 왔습니다. 메모리 반도체도 고성능과 저전력 소비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맞춤형 요구가 증가하면서 전문 제조 공정과 설계 최적화가 필요해졌습니다. 이로 인해 메모리 반도체도 파운드리 서비스를 이용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빠르게 반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