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성실한따오기76
성실한따오기76

코인이나 주식투자 시 리스크 관리 차 손절 기준은 어떻게 설정해야 하나요?

국내주식을 비롯해서 해외주식이나 가상화폐 투자의 경우 리스크 관리를 꼭 해줘야 이후에 일어날 대참사를 막을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지인 중에서도 이런 리스크 관리를 해주지 않다가 작년에 투자를 통해 번 수익을 이번에 전부 날렸다고 신신당부하더라고요.

그럼 투자 시 손절 기준의 경우 어떻게 설정하는게 좋을지 전문가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기준으로는 투자금 대비 손실이 5%~10%일 때 손절합니다

    지지선 시준으로는 차트에서 중요한 지지선(가격이 여러 번 반등한 가격)을 설정하고, 지지선이 뚫리면 손절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손절과 익절의 기준을 갖고 투자에 임해야지 장기적인 투자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손절라인 보다는 익절의 범위를 더 크게 잡아야 수익을 보는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 익절을 10%로 보고 있다면 손절은 -8%에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 이러한 원칙을 지키는 투자만 해도 수익을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인이나 주식투자시 리스크 관리차 손절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략 3퍼센트에서 5퍼센트 사이 정도로

    손절의 기준을 잡곤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건 코인이건 위험자산에서 손절레벨 설정은 필수 입니다 이게 근데 단기투자냐 스윙투자냐 장기투자냐 에 따라서 손절레벨이 다 틀려지는게 정상이거든요 그래서 투자자가 성향에 맞쳐서 설정을 해야합니다

    저는 스윙투자 위주로 하는데 일단 최종매수 후 15-20프로 빠지면 절반은 손절을 날리고 추후 추세를 보는 편입니다

    단타치시는 분들은 -2~3프로면 손절 나가시는 분들도 많더라구요

    그러니 질문자님 성향에 따라서 손절레벨을 설정하셔야 할거 같습니다

    주식이건 코인이건 위험자산은 대응의 영역 같습니다

    질문자님도 부디 대응 잘하셔서 큰 수익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2025년에도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많이 받으세요!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손절 기준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이 할 수 있습니다.

    손실 비율 기반

    예시: 투자금의 5~10% 손실이 발생하면 매도.

    기술적 분석 활용

    지지선/저항선 기준: 기술적 지표를 활용해 특정 가격대(예: 지지선 아래로 내려갈 경우)를 손절 기준으로 설정.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는 손익비 설정 기준에 따라 조금씩 다르긴 합니다.

    만약 단타 매매를 하신다면 손익비를 짧게 잡으셔서 빠르게 진행하셔야 하고요.

    장타 매매를 하신다면 손익비를 크게 잡으셔야죠.

    예를 들어 본인이 원하는 단타의 수익률이 10%라고 하면 무조건 그 아래로 손절선을 잡으셔야 해요.

    5%정도로요 1:2의 손익비를 가져가는 것이죠.

    그러나 장투는 수익을 크게 보기 때문에 50% 수익이 목표면 20 ~ 30%정도까지 손절선을 잡으셔야 버티실 수 있습니다.

    결론은 매매방식에 따라 손절선을 다르게 잡아야 하고 본인의 수익목표 이내의 퍼센테이지로 손절선을 설정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