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상한 음식에서는 신맛이 나는지 궁금합니다.
고기나 우유가 상해서 실수로 먹어보면
꼭 특유의 신맛과 역한 맛이 나는데요
왜 음식이 부패되면 신 맛이 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상한 음식에서 신맛이 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주된 이유는 음식에 포함된 단백질이 부패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상한 음식은 미생물의 성장과 분해 작용으로 인해 변질이 진행됩니다. 이러한 변질 과정에서 단백질이 분해되면 아미노산으로 분해됩니다. 그리고 아미노산 중 하나인 글라이신은 신맛을 유발하는 물질입니다. 따라서 상한 음식에서는 글라이신이 증가하여 신맛이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상한 음식은 미생물이 분해 과정에서 생성한 독소들도 함께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 독소들은 음식의 맛과 냄새를 변화시키고, 때로는 신맛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음식이 부패되면 신맛이 나는 이유는 산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음식을 부패시키는 미생물은 크게 세균과 곰팡이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세균은 음식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아미노산을 생성하고, 이 아미노산이 산으로 변하면서 신맛이 납니다. 곰팡이는 음식의 탄수화물을 분해하여 알코올을 생성하고, 이 알코올이 산으로 변하면서 신맛이 납니다.
특히, 고기나 우유는 단백질 함량이 높기 때문에, 세균에 의한 부패가 빠르게 일어나고, 신맛이 강하게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상한 음식이 신맛을 나는 이유는 음식을 부패 시키는 미생물이 음식을 상하게 만들 때 산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또한, 음식에 있는 미생물의 활동 때문에 발생한 부산물로 인해 상하면 시큼하고 이상한 냄새가 나게 만드는 원인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포도당이 여러 효소에 분해되는 것이 한눈에 보일 텐데, 이때 여러 가지 산과 알코올(Ethanol)이 만들어지는 것도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이러한 산은 신맛과 향을 내므로 상한 음식에서는 신맛이 납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음식이 상한다는 것은 미생물에 의해 부패가 일어난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부패는 유기물이 대사과정 중 산소를 이용하지 않는 혐기성 미생물의 대사작용으로 악취를 내며 분해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부패는 발효의 한 형태이고, 부패나 발효나 큰 차이가 없습니다. 둘의 구분은 미생물의 대사작용 결과에 따라 인간이 원하지 않는 결과로 나오면 부패, 원하는 결과로 나오면 발효로 이해하면 됩니다.
음식을 부패시키고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균으로 황색포도상구균이 있습니다. 이러한 세균은 영양분이 풍부하면서 고온다습할 때 대사활동이 활발해지고, 그 결과로 영양분을 분해하면서 신맛을 가진 물질을 만들어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