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깍듯한고니72
깍듯한고니7222.08.12

당뇨가 있는 환자, 혈당이 높으면 어떤일이 일어나나요?

나이
38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당뇨약
기저질환
당뇨

당뇨로 최근 판정 받았는데, 혈당관리가 중요하다고 들었습니다.

혈당이 관리가 안되면 곧바로 무슨일이 일어나는지가 궁금합니다.

초기증상, 예방법은 많이 보는데. 어떤일이 일어나는지는 모르겠더라구요.

저는 비만에 의한 2형당뇨입니다.

단걸 먹으면 어지럽게 되는지, 숨이 가빠오는지, 두근거림이 느껴지는지 등등 예상되는 증상을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당뇨가 오면 우리 몸에서 당을 해결 할수 있는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당이 몽에 쌓이면 일단 신장에서 혈액이 걸러지게 되는데 당이 신장의 사구체를 망가 뜨리게 되고

    사구체가 망가지면서 신부전이 일어 날수 있습니다.

    또한 눈에도 영향을 미치며 당뇨 망막병증으로 시력및 시신경의 손상을 일으키고

    또한 당뇨성 신경 병증으로 인하여 말초신경 이상도 발생합니다.

    당이 쌓이게 되면 말초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상처가 발생해도 치료가 잘 되지 않으며

    발끝등에 당이 쌓여 순황되지 않는경우 괴사 가 발생하여 당뇨 발인경우 절단을 해야 되는 상황이 올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혈당이 높아짐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불편감은 거의 없습니다. 높아진 혈당으로 인해서 목마름 및 소변을 많이 보게되는 증상이 생길 수는 있습니다.

    직접 느낄 수 있는 불편감은 거의 없지만 높은 혈당 상태에 오래 노출되면 우리 몸의 말초혈관들이 손상되면서 망막병증, 신장병, 손발의 말초혈관이 손상되면서 말초신경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혈당을 조절하는 이유가 당장 어떤 증상이 생길까봐라기 보다는 이런 합병증들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함입니다.

    그리고 만약 혈당이 600mg/dL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DKA (Diabetic ketoacidosis), HHS (hyperosmolar hyperglycemic state) 라고 해서 구역감, 구토, 복통, 호흡이상, 빈맥, 저혈압이 생길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의식 저하 및 혼수로 이어지게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당뇨환자는 혈당조절을 잘해주어야 합니다. 규칙적으로 식전혈당을 체크해서 약의 용량이나 종류를 적절히 바꾸는 것도 중요합니다.

    혈당조절이 결국 안된다면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합니다. 혈당체크 잘하시고 해당병원 주기적으로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 체내의 혈당이 조절되지 않아 고혈당 상태가 지속된다면 당뇨병성 산증이 발생하여서 전신의 탈수, 전해질 불균형, 산증이 발생하게 되어 최악의 경우 사망까지도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보통 호흡곤란, 복통, 기력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점차 심해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당 조절을 잘 하여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덕 의사입니다.

    중상은 없는 경우가 많아서

    당뇨병인지 모르고 지내다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에도 치료하는 이유는 합병증 때문입니다

    서서히

    진행하다가 어느 날 갑자기 눈이 안보이거나

    신장이 망가지거나

    다리에 괴사다 되어서 절단해야 하거나

    심장마비가 오게됩니다

    치료 시기를 10년 늦추면 합병증은 두 배 더 잘 생깁니다.

    초기에 적극적 혈당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당뇨가 있을 경우 급성, 만성 합병증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급성 합병증으로는 당뇨병성 케톤산증과 같은 질환이 대표적이며 일반적으로는 다음, 다뇨, 다갈, 체중감소, 피로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만성합병증은 심혈관질환 및 뇌혈관 질환을 비롯하여 당뇨병성 망막병증, 말초 신경병증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혈당이 높아서 당장 어떤 일이 일어나지는 않지만

    지속적으로 늪으면 몸이 만성염증에 취약해지고 말초 신경/혈관 들이 죽기 시작합니다.

    과하게 높으면 (300이상) 의식이 혼미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