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적 결함이 있는 동물에게 로봇팔을 달아 이를 보완할 수 있을까요?
팔이나 다리가 없는 동물에게 로봇팔을 달아 이를 보완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로봇팔이 동물의 의지대로 움직이려면 높은 기술력이 필요할 것 같은데 거기에 쓰이는 기술이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여러 문제로 인한 장애가 있는 동물에게 있어서
로봇팔이나 다리 등을 부착하여 보조하기 위한 기술에는
아주 다양한 기술이 적용됩니다.
관련 기술을 간단히 나열해 보자면
1. 센서 기반 장애물 감지 기술시각장애 반려동물 보조장치: 시각장애 반려동물에게 장애물을 감지하여 진동으로 알리는 기술이 있습니다. 센서를 통해 장애물을 감지하고, 반려동물에게 진동신호를 보내 장애물의 위치를 알려주어 사고를 방지합니다
로봇팔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은 인간의 뇌 신호를 해독하여 장애가 있는 환자가 생각만으로 로봇팔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기술은 대뇌 피질 신호를 분석하여 팔의 이동 궤적을 예측하고, 장애인들이 자연스럽고 쉽게 로봇팔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웨어러블 로봇: 하반신 마비 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로봇을 부르면 휠체어에 다가오고, 사용자가 로봇을 입으면 일어납니다. 이 로봇은 주변에 도움 없이도 혼자 입고 걸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생각대로 움직이는 인공 팔: 생체모사 기술을 통해 수부 절단 장애인에게 꿈같은 이야기가 현실로 다가올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인간능력 향상 및 편익 증진을 위해 인간과 동물의 생체원리를 기반으로 하며, 첨단기술 기반 고난도 생체모사를 통해 인체에 적용 가능한 기술개발이 추진 중입니다
로봇 안내견: 로봇 안내견은 레이저 반사파로 장애물을 파악하며 이동합니다. 사용자를 향한 카메라를 통해 시각 장애인이 로봇의 안내에 따라 잘 걷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신체적결함이있는동물에게로봇팔을장착하여 보완하는것은가능하며,최근몇몇사례에서성공적으로구현되었습니다로봇팔이동물의의도대로움직이기위해서는여러기술이필요합니다 첫째,생체 신호감지기술을통해동물의근육이나신경신호를읽어로봇팔에전달합니다둘째,머신러닝 알고리즘을활용하여동물의움직임을학습하고조정합니다마지막으로정밀한,모터제어기술이로봇팔의 자연스러운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아직까지는 완전하게 뇌에서 신경이 가는데로 로봇이 움직일 수 있는 단계는 아닙니다. 이에 따라서 임상실험 등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동물 및 인간에게도 뇌 신호를 인식하여 로봇 팔을 제어가능한 기술은 가능합니다.
이는 뇌-기계 인터페이스 의 기술이며 카이스트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