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중에 경희토류와 중희토류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희토류도 경희토류와 중희토류로 나누어진다고 하던데 경희토류와 중희토류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그리고 최근 전기차, 반도체 재료로 사용되는 희토류는 둘 중에 어떤 것으로 만들어지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희토류는 원자번호에 따라 경희토류와 중희토류로 나뉘며 경희토류는 라이트란탄계열로 주로 광산에서 풍부하게 나오고 중희토류는 디스프로슘 터븀처럼 희소하고 분리도 어려워 더 가치가 높습니다. 전기차 모터나 고성능 자석에는 강한 자성을 가진 중희토류 반도체 공정에는 경희토류가 함께 활용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희토류를 구분해서 사용하진 않는데 굳이 나누면 원자번호를 기준으로 57~63 까지를 경희토류 라고 하고 64~71까지를 중희토류 라고 합니다.
전기차와 반도체의 재료로 사용되는 것들은 경희토류, 중희토류 둘다 사용되긴 하는데 굳이 따지자면 중희토류가 반도체나 전기차 재료에 사용된다 할 수 있습니다. 사실 희토류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건 네오디뮴으로 전체 희토류 사용량 중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물질 입니다. 이 네오디뮴이 경희토류에 포함되긴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
희토류는 주기율표상의 17개 원소를 통칭하는 말로 지구상에 많은양이 존재하지 않지만 필수적으로 필요한 분야가 많기 때문에 희토류 확보를 위한 것이 전쟁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희토류는 원자량이 작은 경희토류와 원자량이 많은 중희토류로 구분 합니다.
경희토류는 세라믹,유리등 자성이 없는 광물들이 많으며 중희토류는 비교적 자성이 강한 광물이 많습니다.
전기차와 반도체에 어떤 희토류가 특정하여 들어가는 것은 아니고 필요특성에 맞게 적용 됩니다.
다만 전기차는 주로 중희토류가 많이 사용되고 반도체부분은 경희토류(세라믹)가 주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