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무역수지 흑자가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2013년부터 2021년까지 무역수지 흑자로 막대한 달러가 유입되었다고 합니다. 이 달러가 부동산 가격 상승의 원인이라고 하는데 맞는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재민 관세사
      박재민 관세사
      프리랜서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무역수지 흑자로 인해 유입된 달러가 부동산 가격 상승의 원인은 아닙니다. 물론 무역수지가 흑자라는 의미는 그 나라의 경제 상황이 좋다는 반증이고 더 많은 투자 기회와 자금의 융통이 원활할 수 있기에 부동산 가격 상승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습니다.

      다만, 부동산은 대내외적으로 정말 많은 요소에 따라 영향을 받고 정부 정책 등 변수도 많이 존재하는 영역이기에 일반화하기는 어렵습니다.

      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무역수지 흑자로 달러의 단기 유동성이 확대되었는데, 이러한 유동성을 실물경기가 흡수하려면 국내 소비와 투자가 활성화되야 합니다.

      그러나 국내 소비와 투자가 활성화되지 못하면서 이러한 유동성이 자산시장으로 유입될 수 밖에 없었고, 자산시장으로 유입된 유동성이 부동산 가격 상승을 부추긴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달러가 유입되었다는 것은 외국으로부터 수출이 많아서 더 많은 외화가 들어왔거나, 외국인 투자가 더 많이 들어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무역수지 흑자는 일반적으로 경제적으로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하지만 부동산 가격 상승과 무역수지 흑자 간에는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없습니다. 부동산 가격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정책 및 금리의 변화, 대출 조건 등이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역수지 흑자가 경제 전반의 활력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는 있으나 무역수지 흑자가 부동산 가격 상승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는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무역수지가 흑자라는 것은 상품무역의 관점에서 지속적인 흑자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인데, 우리나라는 최근 20년간 단 두번의 무역적자만을 기록했을뿐 꾸준한 흑자를 보는 국가였습니다.

      무역수지의 흑자만으로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는 없지만, 경기 회복 또는 호황의 상황에서 돈이 풀리면서 부동산 등이 상승하고 물가도 함께 올라가는 등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해당부분은 직접적인 연결고리는 없지만 간접적인 연결고리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먼저, 경상수지의 흑자는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 및 인플레이션을 뜻합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수많은 사람들의 소득이 늘어날 것이며 이러한 사람들이 큰 부를 이루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자산이 가장 많이 쏠려있는 부동산에 자금이 되거 투입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부동산 가격이 상승이 나타난것으로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