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빼어난거북이8
빼어난거북이819.12.09

웹 개발자의 초급 중급 고급을 나누는 기준이 어떻게 될까요?

현재 웹 개발자로 재직중인 평범한 개발자입니다.

다루고 있는 부분이 프론트(React)랑 백엔드(django), 운영 이렇게 다루고 있습니다.

현재 여러가지를 하고 많이 배우고 있는 중입니다.

그런데 요즘 드는 생각이 나를 더욱 더 발전시키는 방법을 모르겠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 언어 등을 많이 아는게 결코 자신의 가치를 올리는 것이 아닌 것 같다고 생각되어지고 있고 그러면 다른 방법으로 나를 발전시키는 방법과 또 웹 개발자라는 직종에서 초급 중급 고급 등을 나누는 기준이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그 기준으로 지금 현재의 위치를 판단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되어져서요.

질문이 너무 중구난방인데 죄송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저도 현직 웹 개발자입니다.

    질문자님이 작성해주신 프론트(React)랑 백엔드(django), 운영 을 다루신다고하시면 풀스택개발을 진행하시는지요?

    아니면 규모가 작은 회사의 전체 개발을 맡고 있으실것같습니다.

    일단 개발자의 초급, 중급, 고급, 특급의 기준은 각 회사마다 다릅니다.

    일단 공기업 에 경우 급수의 여부가 정확히 나누어 집니다. (정보처리 기사 여부 + 경력) 으로 산정하여 정보처리 기사가 있고 경력이 몇년 이상이면 중급으로 정해집니다. 각 공기업에따라 다르기 때문에 딱 몇년이라고 말씀드리기 힘듭니다.

    그리고 일반기업의 경우 SI업체도 보통 정보처리 기사 + 경력으로 따지지만 대형 IT기업들은 정보처리 기사를 크게 따지지 않습니다. 현업이시라 아시겠지만 대형 IT기업들은 실제 코딩능력및 설계능력을 보기 때문에

    1차 - 직전회사에서 어떤프로젝트를 진행하였는지 + 개인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있는지 , 깃허브나 블로그 확인.

    2차 - 각자의 능력을 확인 할 수 있는 코딩능력을 온라인으로 테스트

    3차 - 면접에서는 단순히 어떤거 했는지를 물어보는 것이 아닌 화이트보드로 직접 프로그램을 설계및 손코딩을 진행하는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위에 작성한 기준은 카카오, 쿠팡, 네이버 급의 회사를 기준으로 설명드렸습니다.

    따라서,

    1. 개인 프로젝트준비 (1일 1커밋)

    2. 코드그라운드와 같은 코딩사이트에서 꾸준히 코딩연습 ,

    3. 단순히 화면을 빠르게 개발하는 것만 하는것이 아닌 프로그램 설계 (DB및 백단)를 꾸준히 해보시면서 개인 포트폴리오를 준비 하시면 될것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실력이라는 것이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없는 부분이어서 주관적인 기준이 들어갈 수 밖에 없습니다.

    제 기준을 참고만 해보세요.

    1. 초급 - 요구사항이 이해된 상태에서 원하는 기능을 인터넷에서 검색하며 구현할 수 있다. 조금 난이도가 있거나 유사한 케이스를 경험하지 못했을 때 도움이 꼭 필요하다.

    2. 중급 - 웬만하면 어떻게든 구현이 가능하다. 내가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가 있으면 좋으나 없으면 직접 구현가능하다. 이 정도면 PL(프로젝트 리더)을 시켜볼 수 있다.

    3. 고급 - 유지보수를 고려해서 설계를 하고, 임의의 기능을 구현할 때 여러가지 방법 중 성능, 개발기간, 유지보수 3박자를 골고루 고려하여 노가다가 아니라 예술의 경지로 승화시킨다. PL 중에서도 꽤 배테랑급이다.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의 전문가라 할 지라도 이 수준에서는 기본적으로 운영체제, 네트워크, 메모리 구조에 대해 강의할 정도의 수준은 된다.


  • 해당 기준표을 참조 하시면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아래 내용을 보시면 일단 경력으로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10년이 지나면 경력이 아닌 스킬로 인정을 받기 때문에 아래 표는 참조만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답급을 달아주시면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