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산기의 작동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흔히들 회사에서 계산기를 많이 쓰잖아요?
곰곰히 보다보니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어떻게 작동하는지가 궁금해졌습니다.
어떻게 작동이 되는건가요?
그리고 자릿수를 벗어날 경우 E가 뜨면서 계산이 안되는데 저 E는 무엇이며 예를들어 E82 라고 적혀있으면 얼마의 숫자를 얘기하는 건가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 계산기는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버튼 입력을 전기 신호로 받아 연산을 수행하고 결과를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화면에 뜨는 E는 지수를 의미하는 표기법으로 E82는 10의 82제곱을 뜻하며 이는 1 뒤에 0이 82개 있는 큰 수르 나타냅니다 자릿수를 넘는 계산은 디스플에와 내부 처리 한계를 초과해 E 표기로 간략히 표현되거나 오류로 표시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 회사에서 사용하는 계산기는 일반적으로 전자 계산기라고 불리며 전자 회로를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계산기는 입력된 숫자를 전자 회로를 통해 처리하고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 자릿수를 벗어날 경우 E가 뜨면서 계산이 안되는 것은 지수 표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E82는 10의 82승을 의미하며 매우 큰 숫자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일반적인 숫자 표기법으로는 너무 많은 자릿수를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됩니다. - 계산기의 작동 원리는 입력된 숫자를 전자 회로를 통해 처리하고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숫자를 입력하고 연산 기호를 누르면 전자 회로를 통해 입력된 숫자가 처리되고 결과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됩니다. - 많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계산기이지만 그 작동 원리는 매우 복잡하고 정교합니다. 계산기를 사용할 때마다 그 작동 원리를 생각해보는 것은 매우 흥미로울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계산기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2진법으로 모든 계산을 수행합니다. 계산을 수행하는 가장 작은 단위는 논리 회로이고, 논리 회로는 논리 게이트로 구성되요 지수의 의미를 가진 영단어 exponent의 약자 기호(=symbol) 로 만들어) "E"를 "×10^()" 대신에 간단하게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 1. 숫자 입력: 계산기의 숫자 버튼을 눌러 입력한 숫자는 일반적으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됩니다. - 2. 연산자 입력: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의 연산자 버튼을 눌러 원하는 연산을 선택합니다. - 3. 연산 처리: 입력한 숫자와 연산자에 따라 계산기 내부의 프로세서가 연산을 처리합니다. 이때, 알고리즘과 회로를 통해 입력된 숫자에 대한 적절한 연산이 수행됩니다. - 4. 결과 표시: 연산이 완료되면 계산 결과가 디지털 형태로 표시됩니다. 일반적으로 LED나 LCD 화면을 통해 결과가 표시됩니다. - 자릿수를 벗어날 경우, "E"는 지수 표기법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예를 들어, "E82"는 10의 82승을 의미합니다. 지수 표기법은 매우 크거나 작은 수를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