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산에서 산불이 발생하면 바람을 등지고 대피하는 이유가있나요?
봄철이나 가을철에 산불이 많이 발생하는데, 뉴스나
안전교육을 받을때 산불발생시 바람을 등지고 대피하라고 하는데 왜 그런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정중한해파리168입니다.
산불은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번지게 되므로 바람 방향을 감안하여 산불의 진행경로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대피장소는 불이 지나간 타버린 장소, 낮은 장소, 도로, 바위 뒤 등으로 정하고 산불보다 높은 장소를 피하고 불길로부터 멀리 떨어져야 합니다.
대피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을 때는 낮은 지역을 찾아 낙엽이나 나뭇가지 등을 긁어낸 후 얼굴 등을 가리고 불길이 지나갈 때까지 엎드려 있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푸른색제비566입니다.
산에서 산불이 발생하면 바람을 등지고 대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불은 바람을 타고 번지기 때문에, 바람을 등지고 대피하면 불길이 뒤에서 따라오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바람을 등지고 대피하면 연기를 덜 마시게 되어 건강에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견실한그늘나비123입니다.
산불은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번지게 되므로 바람 방향을 감안하여 산불의 진행경로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산불 규모가 커지면 산불발생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안전한 곳으로 불길을 등지고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빨리 대피합니다.
안녕하세요. 팔팔한파리매131입니다. 산불이 나면 바람부는 방향과 반대로 즉 등지라고 하는 이유가 순간적으로 연기를 흡입한 경우, 의식을 잃을 수 있어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