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향기로운향고래191
향기로운향고래19122.04.25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빛의 자외선 양이 궁금합니다

일반 에어캡을 붙인 이중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쪼이게 되면 자외선에 노출이 어느 정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예전에 실내에서도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게 좋다는 말을 들은 기억이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현준 과학/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중창 유리가 자외선을 일부 차단하는 것은 맞지만 자외선 노출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는 어렵기에 실내에서도 자외선차단제는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왜 그래야 하는지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 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태양으로부터 지구로 도달하는 자외선(UV, UltraViolet)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UV-A (상대적 긴 파장) : 날씨에 상관 없이 항상 지표면에 도달
    2. UV-B (상대적 중간 파장) : 구름이 많거나 날이 흐린 날이면 지표면까지 도달하지 못 함
    3. UV-C (상대적 짧은 파장): 오존층에 의해 대부분 흡수

    UV-A,UV-B,UV-C가 태양으로부터 지구에 도달하게 되고, UV-C의 경우 상대적으로 짧은 파장으로 인해 오존층에서 대부분 흡수되어 실제로 우리 피부에 영향을 주는 자외선은 UV-A와 UV-B입니다.

    그렇다면 가정에서 유리창이 있을 때 자외선의 투과율은 어떻게 될까요?

    줄어드는 정도는 유리의 재질과 갯수(단일창, 이중창) 그리고 유리 내 자외선 차단 기능 포함 유무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1. 유리 재질

    일반 유리창의 경우 대부분 소다석회로 만든 유리가 대부분입니다. 이 유리의 경우 결정구조가 아닌 액체와 같은 상태로 각 원자들이 위치하고 있어, 결정구조에 비해 느슨한 구조를 가진 불규칙한 형태를 띄고 있어 상대적으로 짧은 파장의 자외선은 차단이 잘 됩니다. UV-B의 경우 대부분 차단이 되고 UV-A의 경우 약 70-80% 정도만 차단되고 20-30% 정도는 투과하게 됩니다.

    2. 유리 갯수

    단일창에 비하여 이중창의 자외선 차단율이 높습니다. 단일창의 경우 대략 40-50%, 이중창의 경우 90% 이상 차단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유리 내 자외선 차단 기능 물질 포함 여부

    라미네이트 등이 포함된 유리의 경우 (자동차 전면 유리 등) 자외선 차단율이 95% 이상으로 높습니다.

    따라서, 이중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쪼이게 되면 자외선 중에서 UV-B는 대부분 차단이 되겠지만, UV-A에 일부 노출이 되고 지속적으로 쬘 경우 피부에 좋지 않기 때문에, 만약 실내용으로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신다면, SPF 지수 (UV-B 차단) 보다는 PA 지수 (UV-A 차단)가 높은 것을 바르는 것이 훨씬 효과적입니다.

    이상 궁금증이 해소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외선 측정기를하나 구매하셔서 직접 측정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실내 형광등이나 일반 전구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자외선의 양은 거의 없는수준입니다.
    때문에, 작성자님께서 말씀하신듯이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을 유의하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보통 자외선의 양은 1000마이크로 W/cm2 입니다.

    창문 유리를 통과하게 되면 약 1/4로 줄어들어 250 마이크로 W/cm2가 됩니다.

    자외선에 민감한 체질이라면 유리에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