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대단한친칠라280
대단한친칠라280

한은은 언제부터 기준금리를 인하할수 있을까요?

최근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가 줄어들면서 지난번 금통위에서 한은은 기준금리를 동결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시점에 대해 논의가 시작된 것으로 보이는데 언제부터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올해 안에는 어렵다고 보여지고 내년 부터 차츰 인하할 것이고 미국보다는 느린 속도록 인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한미간 금리차를 다시 원상태로 돌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의 금리기조가 바로 금리인하로 전환될 가능성은 거의 없어보입니다.

    미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들 또한 아직 금리인하의 시기를 조금은 먼 미래로 미뤄두고 있습니다.

    결국 경기부양에 대한 필요성이 다시금 있을때 금리인하의 기조가 다시 시작될 것으로 보이는데, 일단의 목표는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것에 조금 더 집중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미국의 금리결정 동향 및 여러가지 경제지표를 참고하고. 우리나라 경제지표 및 시장상황을 충분히 고려해서 결정을 하기 때문에 쉽게 알수는 없으나 세계 많은 나라들의 금리동결 소식도 있고 그 분위기가 금리인하 쪽으로 서서히 가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이번달에는 금리를 동결 할것으로 보고 있고 기준금리 인하는 6월 이후로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신우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미국과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1.25~1.50% 차이가 나고 있고 심지어 미국은 금리를 더 올릴 가능성도 있는 현시점에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인하를 언급하는 것은 상당히 시기상조가 아닐까 싶네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동향이 미국을 따라갈 수 밖에 없다는 가정으로 하고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미국의 경우는 현재까지의 데이터값만을 놓고 본다면 한차례의 금리인상 이후 연말까지 기준금리 기조를 유지하게 된다면 내년 상반기에 목표하는 2%대의 CPI값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금리인하시기는 내년 상반기가 될 것으로 보이며, 금리인하 분위기가 형성되는 것은 올해 연말부터 시작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미국보다 내수시장 더 크게 위축되어 있고 대출에 따른 부실화 우려도 더욱 심각한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보다는 조금앞선 시기에 금리인하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전에 금리인하를 결정하게 되면 달러환율이 폭등할 수 있기에 우리나라는 '미국의 금리인하 분위기가 확실해지는 경우'에 금리인하를 단행하게 될 것입니다.

    이를 토대로 생각할 수 있는 시점은 올해 연말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 늦으면 내년 1~2월쯤부터는 금리인하를 시작할 가능성이 높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기준금리는 미국의 금리 변화와 국내 경제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미국의 금리 상승 속도가 둔화되면서, 한국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이는 한국의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의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거나 불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기준금리 인하를 검토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준금리 인하는 단기적인 대응책이 아니라 중장기적인 경제 정책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하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국내외 경제 상황의 변화와 기업 및 가계부채, 인플레이션 등 여러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한국은행에서는 국내외 경제 상황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필요에 따라 적시에 기준금리 인하를 검토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