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Youangel
Youangel

중국에서도 신분차별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중국은 다민족 국가라고 알고있는데요 한족 만주족 몽골족 여러 민족이 있는데 이들간에도 신분차별이 있을까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개혁개방 이후 빈부격차와 지역 격차가 심화되면서 생긴 신분차별은 존재하지만 민족이 다르다고 차별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에서 호구제도는 거주지 등록 제도인데, 이를 통해 도시 호구와 농촌 호구가 구분되어 도시에 거주하는 농민은 자녀를 공립학교에 보내지 못하고, 대학 입시에서도 차별을 받으며, 의료 보험의 혜택도 받지 못하는 등의 불이익이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의 모든 가구는 공식적으로 농업호구나 비농업호구로 등록되어 농민과 시민이라는 두 종류의 신분으로 분류됩니다.

    한 개인은 모계의 호구에 따라 농민이나 시민의 자격이 주어지는데 중국에서 농민은 농촌에 거주하고 촌민위원회에 소속되어있는 농업호구 소시자, 시민은 성진에 거주하고 주민위원회에 소속되어있는 비농업호구 소지자를 말합니다.

    중국의 호구 제도는 일종의 카스트 제도로서 기능해 농민들의 신분상승을 막는 주요한 장애로 기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에서도 당연히 신분 차별이라기 보다는 지역, 민족에 따른 차별이 알게 모르게 있습니다. 워낙 큰 나라다 보니 종교나 민족에 의한 지방색이 더 강한데 중국 대륙은 광활한 영토와 복잡한 민족 구성 그리고 많은 인구로 인해 풍속, 종교, 혈통, 문자, 언어 등이 지역마다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따라서 중국은 우리와는 달리 종교, 언어, 인종 등 다 민족국가가 가지는 지방색으로 인해 큰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은 56개의 민족이 공존하는 다민족 국가입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한족 중심의 사회구조가 형성되어, 소수민족은 다양한 차별을 받아왔습니다.

    문화적 차별로는 한족 문화를 우월하게 여기는 인식이 강하며, 경제적 차별로는 소수민족의 취업, 교육, 의료 등의 기회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정치적 차별로는 소수민족의 정치 참여가 제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