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대별로 줄임말 사용률을 알 수 없을까요?
인터넷에 쳐봤는데도 안나오고 다른사람한테 질문해도 모른다고 해서 질문합니다..
어떤 연령대가 줄임말을 얼마나 쓰는지 알아야해요.
줄임 말이 아니라 줄임말로 쓴건 죄송해요ㅠㅠ
안녕하세요. 후련한바다매296입니다.
1. 신조어, 국민 대부분(81%)이 사용하고 있어!
신조어(인터넷 언어) 사용 빈도와 초청체(예- 'ㄱ ㅅ' 감사) 사용 경험
자료 출처 : 국립국어원, ‘2020년 국민의 언어 의식조사’(전국 만 20세 이상 69세 이하 남녀 5,000명, 개별면접조사, 2020.9.21.~11.18), 2020.12.31 /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 한글에 대한 이미지와 인식조사’(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 웹 조사, 2020.9.25.~9.28) 2020.10
국립국어연구원이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몇 가지 예시를 들어서 신조어를 ‘인터넷 언어’라는 명칭으로 사용 빈도를 조사했을 때 ‘자주 사용’ 비율이 42%나 되었는데, ‘보통 사용’ 비율 39%까지 포함하면 81%가 신조어를 사용할 정도로 신조어는 우리 가운데 이미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설문 시 제시한 인터넷 언어 예시 : ㅋㅋ(웃음소리), ㅠㅠ(눈물 흘리는 모양), 댕댕이(멍멍이), 프사(프로필 사진), 순삭(순간 삭제), 레알(진짜), 안습(눈물이 나)
그런데 신조어는 워낙 다양한 유형이 있어서 유형별로 사용률이 다른데, 구체적으로 보면 ‘ㄱㅅ’(감사)처럼 한글의 초성을 사용한 초성체는 66%가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 신조어, 젊은 층의 언어
인터넷 언어 사용(자주+보통) 경험(연령별)과 초청체 사용률(연령별)
자료 출처 : 국립국어원, ‘2020년 국민의 언어 의식조사’(전국 만 20세 이상 69세 이하 남녀 5,000명, 개별면접조사, 2020.9.21.~11.18), 2020.12.31 /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 한글에 대한 이미지와 인식조사’(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 웹 조사, 2020.9.25.~9.28) 2020.10
인터넷 언어는 20대의 거의 모든 사람들이(95%) 사용하는 등 젊은 층이 주로 사용하고 나이가 들수록 사용률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성체도 마찬가지인데, 초성체를 18~29세가 사용하는 비율이 87%로 가장 많고, 30대는 75%, 50대 63%, 60대 44%로 나이가 들수록 사용률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 신조어, ‘줄임말’을 제일 많이 사용해!
인터넷 언어 유형별 주 사용률
자료 출처 : 두잇서베이 블로그(https://doooit.tistory.com/672), ‘한글 파괴하고, 세대 차이’(전국 만 20세 이상 남녀 3,862명, 온라인조사), 2019.10.10
신조어의 종류가 다양한 가운데 어느 유형을 주로 사용하는지 보면, ‘줄임말’을 주로 사용한다는 응답이 26%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신조어는 줄임말로 나타났다.
‘초성체’, ‘붙임말’을 주로 사용한다는 응답은 10% 중반대를 보였고, 신조어 가운데 가장 기발하고 어려운 야민정음(인터넷 커뮤니티인 디시인사이드 국내 야구 갤러리에서 비롯된 신조어라서 야민정음이라고 불림)은 10%의 응답률을 보였다.
2. 신조어 사용, ‘부정적이다’ 65%
신조어에 대한 태토(전체, 연령별)
자료 출처 : 두잇서베이 블로그(https://doooit.tistory.com/672), ‘한글 파괴하고, 세대 차이’(전국 만 20세 이상 남녀 3,862명, 온라인조사), 2019.10.10
신조어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부정적 태도가 65%, 긍정적 태도가 35%로 부정적 태도가 훨씬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차이가 큰데 20대는 절반 정도가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고, 30대 34%, 40대 29%, 50대 33%, 60대 이상 23%로 나이가 올라갈수록 긍정적 태도는 약화하고 부정적 태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신조어 사용 동기, ‘재미있다’
신조어 긍정 평가 이유(상위 4위)와 신조어에 대한 인식('그렇다' 비율)
자료 출처 : 두잇서베이 블로그(https://doooit.tistory.com/672), ‘한글 파괴하고, 세대 차이’(전국 만 20세 이상 남녀 3,862명, 온라인조사), 2019.10.10 / 국립국어원, ‘2020년 국민의 언어 의식조사’(전국 만 20세 이상 69세 이하 남녀 5,000명, 개별면접조사, 2020.9.21.~11.18), 2020.12.31
신조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함에도 불구하고 왜 신조어는 계속되는 것일까?
그것은 신조어가 집단 언어, 또래 언어이기 때문이다. 신조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이유를 질문했을 때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언어’(27%), ‘주변에서 많이 쓰기 때문에’(12%)를 응답했는데, 이는 신조어가 20대 혹은 특정 커뮤니티 구성원 간에 친밀성을 다지고 동질감을 느끼게 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는 신조어가 ‘재미’있기 때문이다(28%). 많은 연구에 따르면 20대의 특징 가운데 하나를 ‘재미 추구’로 보고하고 있다. 이들이 신조어를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사용할 때에 재미를 느낀다는 매력이 20대에게 신조어를 사용하게 만드는 것이다.
목회데이터연구소는 “흥미로운 것은 신조어가 한글 파괴라는 강한 비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조어가 한글 발전에 기여한다(17%)는 응답이 있었다는 것”이라며 “다른 조사를 보면 이 의미가 명확해지는데 신조어 가운데 참신하고 기발한 단어들이 있어 어휘를 풍부하게 한다는 언급이 있는데 이것이 한글 발전에 기여한다는 인식을 주는 것으로 해석된다.”라고 설명했다.
출처 http://www.kosi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