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수수한솔개23
수수한솔개2324.01.28

화씨와 섭씨는 어떤 차이가 있고 그 차이는 왜 생긴 건가요?

대부분 온도를 말할 때 섭씨 그러니까 도(℃)로 이야기 하는데 가끔 다른 나라 일기예보에서는 화씨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화씨와 섭씨는 어떤 차이가 있고 그 차이는 왜 생긴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발견자와 온도의 정의 차이입니다.

    섭씨는 1기압에서 물이 어는 점을 0, 끓는 점을 100으로 하여 100등분한 것이고, 화씨는 물이 어는 점을 32, 물이 끓는 점을 212로 하여 이 사이를 180등분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씨와 섭씨는 온도를 나타내는 두 가지 단위입니다. 화씨는 미국의 물리학자 다니엘 가브리엘 파렌하이트가 만든 단위이고 섭씨는 스웨덴의 천문학자 안데르스 셀리우스가 만든 단위입니다. 두 단위의 차이는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에서 비롯됩니다.

    화씨는 물의 끓는 점을 212도 얼음의 녹는 점을 32도로 정하고 그 사이를 180도로 나누어 온도를 측정합니다. 반면에 섭씨는 물의 끓는 점을 100도 얼음의 녹는 점을 0도로 정하고 그 사이를 100도로 나누어 온도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두 단위의 차이는 온도를 측정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화씨와 섭씨 중 어떤 단위를 사용하더라도 온도는 동일한 값이지만 두 단위를 자주 혼용하게 되는 이유는 각 나라마다 다른 온도 단위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미국과 일본 등 일부 나라에서는 화씨를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섭씨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다른 나라의 일기예보를 볼 때에는 온도 단위가 다를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많은 나라에서는 섭씨를 사용하는 이유는 물의 끓는 점과 얼음의 녹는 점을 100도로 나누어 쉽게 계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섭씨는 물의 끓는 점과 얼음의 녹는 점을 기준으로 정하므로 물의 온도 변화에 따라 온도 단위를 쉽게 변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씨와 섭씨는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에서 차이가 있지만 두 단위를 적절히 변환하여 사용하면 동일한 온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씨(°F)와 섭씨(도씨)는 온도를

    측정하는 두 가지 척도입니다.

    화씨는 얼음이 녹는 점을

    32°F

    물의 끓는 점을 212°F로

    정의합니다.

    섭씨는 얼음이 녹는 점을

    0도씨 물의 끓는 점을

    100도씨로 정의합니다.

    화씨는 18세기 영국의

    물리학자 로버트 허위가

    제안한 척도입니다.

    당시 화씨는 얼음이 녹는

    점을 32°F 물의 끓는 점을

    96°F로 정의했습니다.

    1724년에는 미국의 벤자민

    프랭클린이 96°F를 212°F로

    변경했습니다.

    섭씨는 18세기 스웨덴의 천문학자

    안데르스

    셀시우스가 제안한 척도입니다.

    섭시는 얼음이 녹는 점을 0도씨

    물의 끓는 점을 100도씨로

    정의했습니다.

    화씨와 섭씨의 차이는 얼음이

    녹는 점과 물의 끓는 점을

    기준으로 정의한 점이 다릅니다.

    화씨는 얼음이 녹는 점을 32°F로

    정의하여 섭씨보다 얼음이 녹는

    온도가 낮게 나타납니다.

    물의 끓는 점은 섭씨보다

    212°F로 높게

    나타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