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등 교체시에 전등 스위치와 전기 차단기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전등을 교체할때 차단기를 내리는게 가장 안전한 방법이라고 알고있어서
항상 전기 작업할때는 집안의 모든 차단기를 내리고 작업하는데요...
그래도 생각해보면 궁금해서요 전등 스위치를 눌러서 전등을 꺼버린 상태면
전등에 전기가 안들어오는 상태일텐데 전등의 스위치를 내려서 전등의 불을 끄고 교체하면
천장에서 내려오는 전선에 전기가 없어서 감전당할 위험이 없는것 아닌가요?
물론 어떤 이유가 있기때문에 차단기를 내리고 작업하라고 하시는 이유가 있겠지요...
저는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어째서 전등 스위치를 끄는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전기 차단기를 내리고 작업을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전등을 교체할 때 전등 스위치만 끄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전등 스위치를 끄면 해당 전등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지만 전선이나 다른 전기 장치에서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선의 절연이 손상되었거나 다른 회로에서 전기가 흐를 경우 감전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전기 차단기를 내리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차단기를 내리면 해당 회로의 모든 전기가 차단되어 작업 중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전기 차단기에 대해서 궁금하시네요! 일단 안전에 위해서 전기차단기를 내리는건 맞습니다. 답변자님말씀대로 전등을 교체시에는 굳이 전기차단기를 내릴필요없이 스위치만 내리고 작업을 하셔도 됩니다. 왜냐하면 스위치선은 핫선이고 스위치에서 off 하시더라도 전등에 전압이 흐르지 않습니다. 다만 기존 등 작업시 스위치를 핫선으로 이용하여 전등 배선작업을 올바르게 작업을 했을시 그렇습니다. 전기기술자나 전기자격증을 가지고 있다면 중선선 핫선을 구분하여 작업을 하기 마련이지만, 간혹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중선선을 이용하여 스위치-전등 라인으로 배선연결을 했다면 전압은 흐르지만 전류를 스위치로 차단하기에 정상작동이 됩니다. 하지만전등 교체작업시 차단기를 on 하고 스위치만 off한상태로 작업을 하시면 핫선을 작업하시게 되는것이고 이것이 바로 감전에 요인이 될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차단기를 내리고 안전하게 작업하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노후화된 건축이나 주택이라면 스위치를 off하시더라도 누설전류가 있을수도있으니 스위치만 off하시지마시고 차단기도 꼭 off 하셔서 안전하게 작업하시길 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등 스위치를 꺼도 일반적으로는 전기가 차단되지만 스위치가 중성선이 아닌 전선에 연결되지 않았거나 배선 오류가 있을 경우 스위치를 꺼도 전등 쪽에는 여전히 전압이 인가될 수 있습니다. 또한 스위치 회로 외 다른 회로에서 전류가 역유입되는 경우도 있어 감전 위험이 존재하므로 예상치 못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기를 내려 작업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스위치가 불량이거나 노후화 되어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일이며 아무리 간단한 작업이라도 확실히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