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연료는 어떤 원리로 물이 계속 붙어 있는 것인가요?
날씨가 많이 추워질 것 같은데 날씨가 많이 추워지면 밖에서 일하는 건설 현장 노동자들은 고체 연료를 많이 떼더라고요 이런 고체 연료는 어떻게 해서 하루 종일 불이 붙어 있는 것인지 그 원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체 연료는 특성 상 액체 연료 대비 증발하는 양이 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오래 사용이 가능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날씨가 추워지면 건설 현장 노동자들은 고체 연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어요. 그래서 고체 연료는 하루 종일 불이 붙어 있어요. 이는 고체 연료의 원리에 따라서 가능한 일입니다. 고체 연료는 물과 같은 액체 연료와는 달리 고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불꽃이 붙어도 쉽게 녹거나 증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불꽃이 붙은 상태에서도 고체 연료는 계속해서 불이 붙어 있을 수 있습니다.
고체 연료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불꽃이 붙은 상태에서 고체 연료는 산소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킵니다. 이 열은 고체 연료를 녹이거나 증발시키지 않고 계속해서 불꽃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고체 연료는 불이 붙은 상태에서도 계속해서 불꽃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고체 연료는 불꽃이 붙은 상태에서도 물과 같은 액체 연료보다 더 오래 타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는 고체 연료가 산소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과정이 액체 연료보다 더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설 현장 노동자들이 고체 연료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고체 연료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이를 간단히 정리하자면 고체 연료는 불꽃이 붙은 상태에서도 산소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을 통해 계속해서 불꽃을 유지할 수 있으며 물과 같은 액체 연료보다 더 오래 타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고체 연료는 날씨가 추워지는 계절에 건설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체 연료는 고체형태로 만든 연료일 뿐이지 무한정 사용할 수 있는것은 아닙니다.
정해진 양을 다 소진하면 꺼지고 꺼지기 전에 보충하는 거라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문지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에탄올/메탄올에 불을 붙이면 빠르게
연소되어 모두 날아가버립니다.
고체연료는 에탄올/메탄올에 아세트산 칼슘을 섞게되면 gel을 형성하게 되는데 아세트산칼슘이 에탄올 분자를 잡고 그물망과 같은 분자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연소되어도 잘 날아가지않도 오래 탈수 있게 되능거죠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체 연료는 에틸알코올과 파라핀을 섞어서 만들게 되는데 이렇게 만들었기 때문에 흐르지 않고 고체 형태를 유지가 됩니다.
알코올은 불이 붙게 되면 연소가 되는데 끌 때는 산소만 차단해 주면 바로 불이 꺼지기 때문에 연소와 소화가 매우 매우 간단합니다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체연료는 말 그대로 고체 형태의 연료를 말한다. 주로 고체연료라고 하면, 인공적으로 연료와 더불어 산화물 따위를 섞은 후, 굳혀 고형화시킨 물건을 뜻한다. 이러한 인공 고체연료는 대부분 메탄올을 고형화시켜 만든 것이 대다수다. 가볍고 부피대비 긴 연소시간과 고른 화력을 가졌으며 최근에 나오는 제품들은 불순물을 최소화하여 매연이 거의 나오지 않도록 제작되어 있다.
그 의미가 반드시 인공적으로 만든 형태가 아니어도 장작이나 석탄과 같이 자연적으로 나는 연료도 고체연료라고 할 수 있다.
고체연료는 액체·기체 등의 유체연료(流體燃料)에 대응하는 말이다. 고체연료는 액체·기체 연료보다 발화점(숯·석탄 300~400℃, 가솔린 350∼400℃, 중유 400∼500℃, 도시가스 550∼600℃)이 낮은 데도 불이 쉽게 붙지 않는다. 그것은 액체·기체 연료는 일부가 발화점 이상이 되어 불이 붙으면 갑자기 번져 다량의 발열을 수반하고, 항상 발화점 이상으로 유지되므로 계속 탄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연료에 불이 붙으면 고체던 액체던 연료가 전부 연소될때까지 계속 불이 붙게됩니다.
산소가 공급되는한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