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산뜻한파리171
산뜻한파리171

4월을잔인한사월 이라고하ㅡ는데 이유가 뭔가요?

잔인한4월에 뜻을알고싶어요 왜잔인한사월이라라고 하ㅡ는지 정말궁금해요 어디서유래가 되었는지요 정말궁금새요 가르쳐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노벨 문학상을 받은 미국의 T.S. 엘리엇은 장편시 황무지의 첫소설 첫행에서 4월은 가장 잔인한 달이라 하였습니다.

    4월은 가장 잔인한 달

    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키워내고

    기억과 욕망을 뒤섞고

    봄비로 잠든 뿌리를 뒤흔든다.

    겨울은 따뜻했었다.

    대지를 망각의 눈으로 덮어주고 가냘픈 목숨을 마른 구근으로 먹여 살려주었다.

    즉 시인이 4월은 잔인하다고 말한것은 겨울이 봄보다 더 좋아았다는 얘기로 겨울이 눈으로 세상의 고통과 더러움을 잊게 해주고 비축한 식량으로 조용히 연명할수있는데 봄은 세상을 시끄럽게 하고 욕망으로 혼란스럽게 한다는 역설입니다.

    이는 욕망만 뒤흔드는 현대사회를 빗대어 과거 가난했지만 인간성과 따뜻한 정을 나누었던 옛 시절을 그리워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4월만 되면 인구에 회자되는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1888~1965)의 장시 ‘황무지’의 첫 구절입니다. 4월은 왜 가장 잔인한 달일까. 전통적 해석은 433행이나 되는 ‘황무지’는 종교적 신앙을 잃고(不信), 생식의 기쁨을 잃고(不毛), 썩어서 사라지길 거부해 재생도 불가능한(不活) 서구 문명의 비극성을 노래한다고 합니다. 봄은 생식과 부활(復活)의 계절이다고 합니다. 하지만 진정한 생식과 재생이 불가능한 서구인에게 봄은 그 불가능성을 환기케 하기에 잔인하다고 합니다 또 공허한 추억과 덧없는 욕망을 일깨워 치명적 상처만 덧나게 하기에 더 잔인하지요. 절망적 상황에서 희망고문을 가하기에 가장 잔인하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