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23.09.05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주거했고 사회적 구조는 어떠했나요?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주거했고 사회적 구조는 어떠했나요? 주거 형태와 집단 생활 방식, 그리고 지역사회 내에서의 역할 분담 등에 대해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석기 시대의 주거 생활로는 주로 강가나 바닷가에 움집을 짓고 살았으며 원형이나 모서리가 둥근 네모 바닥과 중앙에 화덕, 남쪽 출입문, 화덕이나 출입문 옆에 위치한 저장 구덩이가 있었습니다.
    움집에는 한 가족이 거주하였고 크기는 4~5명 정도가 생활할 수 있는 정도였습니다.

    신석기 시대의 사회 구조는 유적에서 발견되는 유구나 유물들의 출토 맥락과 비교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는데, 한반도 남부 지역에 터전을 잡은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핵가족 단위로 생활하였을 것이나 생업 활동은 공동 노동으로 하였을 것입니다. 치레걸이나 부장품 등을 보면 집단 내 연장자나 특수 계층[의례 담당자]의 존재를 유추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경제적 측면에서의 위계나 신분의 고착화는 상정하기 어려운 사회라고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석기 시대에는 대부분 움집[수혈 주거]이지만, 지역과 시기에 따라서 자연 동굴이나 바위 그늘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움집은 50~100㎝ 정도의 깊이로 구덩이를 파고 기둥을 세운 다음 그 위에 이엉이나 갈대 등으로 지붕을 이어 만들었는데, 평면 형태는 원형, 방형, 장방형으로 구분된다. 대표적인 주거 유적으로는 봉산 지탑리 유적, 암사동 선사 주거지, 안산 신길동 유적, 유적, 강릉 지경리 유적 등이 있습니다. 신석기 시대 부터 더이상 유목 생활이 아닌 이렇게 거주 생활이 시작 된것은 바로 농경 생활이 시작 되면서 부터 입니다. 이렇게 농경 생활을 하면서 곡식을 생산 하게 되고 집단의 우두머리( 족장)의 지휘아래 공동분배 방식으로 사회는 이루어 졌고 남자들은 주로 밖에서 농사를 짓거나 사냥을 하고 여자들은 주로 집에서 동물과 아이들을 돌보거나 불을 이용해 음식을 하는 문화가 처음 생겨 나기 시작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