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7

감기는 예방접종을 해도 걸리는 이유는 뭔가요?

나이
24
성별
남성

안녕하세요

감기는 도대체 왜 걸리는 건가요?

심지어는 예방접종을 맞아도 걸릴 때도 있습니다

절때 감기에 안 걸릴 수 있는 방법은 없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붉은미르
    붉은미르22.12.17

    안녕하세요.

    감기는 상기도 감염입니다.

    우리 코부터 폐까지 들어오는 모든 감염이 감기로 일컬어집니다.

    바이러스와 세균의 종류도 많지만 예방접종을하더라도 다른변이를 일으킨다면 예방접종을 해도 감염이 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백신의 가장 중요한 효과는 감기 등 바이러스 감염을 막는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바이러스가 침범하는 것을 막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이 보다는 바이러스나 세균은

    사람의 인체에 침범하지 않고는 증식할 수 없기 때문에 절대 걸리지 않는다는 것은

    내몸이 세포가 아닌 기계로 이루어지지 않는 한 불가능할 것이며 기계라고 하더라도

    작동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바이러스에 걸렸다고 할 수 있습니다.


  • 감기는 그것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 바이러스가 수백가지가 됩니다. 독감이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같이 한 종류의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은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지만 감기는 원인 바이러스가 워낙 많기 때문에 예방 접종을 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

    예방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유발되는 독감이고, 감기를 유발하는 바이러스는 워낙 변이가 심해서 백신을 만들 수 없고 예방접종도 힘듭니다. 수분 섭취, 가습, 보온 등으로 생활습관으로 감기에 안걸리도록 노력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감기는 수십여개의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한 상기도 감염을 의미합니다.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상기도 감염을 말하구요.

    예방 접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것일 뿐, 나머지 바이러스에 의한 예방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감기는 걸리는 것이지요. 독감은 최대한 예방하는 것이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