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해양 생물이 대기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데 왜 그런가요?

오늘 다큐멘터리를 보다가 해서 라는 분이 해양 생물이 해양 뿐만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대기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을 하던데 왜 그렇게 이야기 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해양 생물이 대기에 미치는 영향은 주로 그들이 생태계 내에서 수행하는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역할에 의합니다.
    해양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대량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방출합니다. 이 과정은 해양뿐만 아니라 전 세계 탄소 순환에 중요한 기여를 하며,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여 지구 온도의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해양 미생물에서 방출되는 황화합물ㅡ특히 황산화 디메틸 ; DMSㅡ은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구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콘덴싱 핵으로 작용합니다. 이 화합물은 구름의 생성을 촉진하고, 이 구름은 태양 복사를 반사하여 지구의 기후 시스템에 영향을 미칩니다. 질소, 인 같은 영양염의 순환에도 해양 생물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들은 해양뿐만 아니라 지구 전체의 생태계에서 영양소를 재분배하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해양은 숲만큼이나 탄소를 잡아두는 중요한역할을합니다.

    특히 남세균과같은 조류들은 빛에너지를 이용해 광합성을하기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역할을합니다.

    이 이산화탄소들은 영양분이되어 해양생물들이 섭취하고 배설물이되어 바다아래로 가라앉습니다.

    이런 메커니즘으로 대기의 이산화탄소가 해저바닥에 쌓일수있도록 만들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해양생물이 대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광합성으로인해 탄소순환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현재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에의한 지구온난화가 심각해지고있는 상태인데,
    식물성 플랑크톤은 대기중의 탄소를 붙잡아 고체화시키기때문에
    대기의 이산화탄소농도를 줄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이플랑크톤을 잡아먹고 나오는 배설물들이 바다아래로 가라앉으면서
    결론적으로는 대기중의 이산화탄소가 해저바닥에 쌓이는 효과를 만들어냅니다.

    즉, 이러한 바다의 작용에의해 만들어지는 석유와 석탄이라는 탄소덩어리 고체,액체를
    다시 대기로 끌고올라와 기체화시킨느것이 인간이라는 뜻입니다.

    감사합니다.

  • 실제 해양 생물은 단순히 바다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대기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플랑크톤의 경우 작은 크기지만, 지구 산소의 절반 이상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즉, 플랑크톤의 광합성 작용을 통해 만들어진 산소는 바닷물에 녹아들었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됩니다.

    또한 해양 생물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몸체를 만드는 데 사용하고 죽은 생물들은 해저 깊은 곳으로 가라앉아 탄소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최근 심해지고 있는 지구 온난화를 완화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해양 생물의 활동은 다양한 기체를 생성하고 소비하여 대기의 구성을 변화시킵니다. 예를 들어, 일부 해양 미생물은 메탄과 같은 온실가스를 생산하기도 합니다.

    게다가 해양은 대기와 끊임없이 물질과 에너지를 교환합니다. 해양 생물의 활동은 이러한 교환 과정에 영향을 미쳐, 기후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해양 생물이 대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주로 해양에서 이루어지는 광합성과 탄소 순환 과정 때문입니다. 해양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며, 이는 지구 산소 공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또한, 해양 생물과 미생물은 탄소를 흡수해 이를 해저에 저장하거나 먹이사슬을 통해 순환시킴으로써 대기 중 온실가스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해양 생물은 지구 기후와 대기 성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바닷속에서 일어나는 광합성으로 인해 대기 중의 산소가 균형을 이루며 오존층의 두께에 영향을 미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