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조그만쭈꾸미234
조그만쭈꾸미23422.01.11

취침 이후 일어나면 입안이 건조삽니다.

나이
68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부정맥에대한 처방전 약복용중(5년)
기저질환
심혈관질환(부정맥)

밤에 자고나면 입안이 매우 건조해져 있습니다.왜그런가요?

얼마전부터 조금씩 이런증상이 시작되었는데 지금은 입안의 혀와 입천장이 붙어있을정도이고, 목구멍이 묵직하고 굳은 느낌 즉침을삼키려해도 바로되지않고, 가끔은 입술도 서로 붙어있을때도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1.13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흔한 원인중 하나가 수면무호흡증(코골이) 인데요. 잠을 잘때 코를 곤다거나 숨이 턱 막히는 것을 주변사람이 알려줄 경우에는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는 체중감량이 있고 수술도 경우에 따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말씀하시는 증상은 취침 환경이 건조함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증상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잠을 자는 환경을 가습기 등의 제품을 활용하여 습도를 유지해보시길 권고드립니다. 만약 그럼에도 증상이 지속되면 이비인후과 진료가 권고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겨울이 되면서 공기 자체의 온도가 낮아지고 습도가 낮아져서 발생하는 증상으로 생각됩니다. 특별히 신체적인 이상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는 않으며 주무시기 전 가습기를 사용하여 건조하지 않게 관리하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잘 때 뿐 아니라 일상생활을 할 때 늘 지나치게 침이 마르며 눈까지 건조하다면 류마티스 질환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러한 경우는 내과에 내원하여 상담하시길 권유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건조한 환경에서 이러한 증상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 습도 조절을 통해서 증상 개선을 기대할수 있습니다. 또한 입을 벌리고 잔다면 점막이 마르면서 상기 증상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기저질환으로 복용중인 약물 중에 목마름을 유발할수 있는 약물이 있을수 있습니다. 최근 약물을 변경하였다면 약물의 부작용인지 확인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만일 입안이 건조할뿐만 아니라 갈증, 다뇨 등의 증상이 있다면 당뇨가 있는지 확인해 볼 필요도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계절적인 영향이 가장 클 것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요즘 실내가 무척 건조해서 입이나 눈이나 많이 건조해지지요. 물을 자주 드시고 실내 습도 조절을 잘 해주시는 것도 필요합니다. 연세를 고려할 때 침 분비가 떨어져 있을 가능성도 고려해 봐야 하구요. 불편하시다면 이비인후과에 한 번 가보셔도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