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가톨릭에서 초기 커피를 악마의 음료라고 칭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로마 가톨릭에서는 초기 커피를 악마의 음료라고 칭했었는데요.
그래서 당시 커피를 금지시키고 못먹게 하도록 하는데요. 왜 가톨릭에선 커피를 못마시도록 이러한 정책을 만든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6세기 이탈리아 베니스상인이 아랍의 상인들과 해상에서의 밀무역을 통해서 커피는 유럽으로 들어오는 계기를 맡게 됩니다. 지구상의 그 어떤 식재료보다도 풍부하고 다채로운 향기를 지닌 매력 덕분에 금새 유럽의 지식인들과 귀족들, 예술인들 사이엔 커피를 마시는 것이 유행처럼 퍼지게 되었습니다. 빠르게 확산되는 커피의 보급에 포도주와 맥주를 파는 선술집의 매출이 줄어들면서 그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카톨릭교권에 압력을 행사 하였고 커피를 탐탁치 않게 여겼던 몇몇 로마의 사제들이 커피를 악마의 음료(검은 물) 또는 악마의 유혹으로 칭하면서 커피 마시는 것을 금지하는 청원을 1605년 교황에게 하였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사학자들은 이슬람교와 관련된 커피 문화가 로마 가톨릭 교회와 충돌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하고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슬람교 분파 중 하나인 수피교도들에 의해 아랍 전역으로 커피가 퍼졌고 11세기 십자군전쟁을 통해 유럽으로 전해집니다.
16세기 무역을 통해 아랍권의 대표 음료이던 커피가 유럽 전역으로 퍼지고, 유럽의 주류 음료였던 맥주와 포도주의 소비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에 반발한 기득권 상인 세력이 커피의 소비를 막기 위해 신이 이교도들에게 포도주를 금한 대신 커피를 마시게했다. 커피를 마시면 사탄에게 영혼을 빼앗긴다 , 지옥을 연상시키는 악마의 음료다 라는 유언비어를 퍼트립니다.